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빨래건조대
캐논
d라이브러리
"
빅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뉴저지 공과대학과 공동으로 ‘태양마이크로파위치감지기’ 를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빅
베어 태양관측소에 설치될 1.6m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지요. 어때요? 우리의 태양 과학자들이 자랑스럽지 않나요?▶태양분광망원경태양빛은 너무나 강렬해서 여러 가지 필터를 사용,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뉴저지공대와 함께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빅
베어 태양관측소에 설치될 구경 1.6m짜리 ‘신형 태양망원경’(NST)의 개발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NST는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이 될 전망이다.K-SRBL을 이용하면 태양 마이크로파 폭발을 감시해 이동통신 장애에 ... ...
IT꿈나무, ★나라행 티켓을 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전념하고 있다.정부의 우주인 선발사업이 주춤하는 사이 연초 매스컴을 달궜던 ‘
빅
뉴스’의 주인공이다 보니 유명세도 이미 톡톡히 치뤘다. 요즘은 별것 아닌 일에도 행동을 조심한다.“지금은 좀 잠잠해져서 예전 생활과 크게 바뀐 점은 없는 것 같아요. 음식점에 가서 밥을 먹을 때 가끔씩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논문(1991), 조나스 솔크 박사의 소아마비백신(1955), 버나드박사의 최초의 인공심장 자
빅
의 기사(1967) 등 19세기부터 현재까지 과학기술사의 수 많은 이정표들이 이 잡지의 과월호에 남아 있다.특히 이 잡지는 미국의 지성인과 과학자들이 즐겨 읽고 잡지에 실린 내용을 자신의 논문에 참조할 정도로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긁는다. 혹시 우리는 편리함을 이유로 정보보호에 너무 ‘관대’했던 것은 아닐까.
빅
브라더는 우리 자신일 수도 있는데 말이다.도청, 감청 | 타인의 통화를 무작위로 엿듣는 것은 도청, 국가 안보, 범죄 수사 등 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엿듣는 것은 감청으로 구분한다각종 도청 방법유선전화의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앞부분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남겨둔 채 외부의 소리를 이용해 ‘삐
빅
삐비
빅
’하는 뒷부분을 멋지게 바꿀 수 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주위의 다른 새가 내는 소리를 따라하는 휘파람새도 종별 특성은 유지하는 한에서 개체의 독특한 소리를 만든다는 설명이다.닥터 두리틀은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구신령이 등장해 별과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구수하게 들려준다. 그는 “한국 사람이
빅
뱅과 별의 탄생에 대한 만화를 어렸을 때부터 봐야 우주를 자기 것으로 여긴다”고 ‘근엄한 박사’가 만화를 그리는 이유를 밝혔다.“소행성은 왜 꼭 뉴욕 앞바다에 떨어집니까. 동해에 떨어지면 안됩니까.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유명한 질량-에너지 등가원리이고, 뒤의 식은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루드
빅
볼쯔만의 엔트로피식이다. 볼쯔만의 식은 일반인에게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엔트로피’란 개념은 오늘날 물리학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수학자나 물리학자들은 이처럼 단순한 식을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아라 네피안 박사는 말한다. 감독 장치 도입 논의 활발지난해 ‘
빅
브라더 보고서’를 발표한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김영홍 정보인권국장은 “주민의 자발적인 요구로 감시장비를 설치하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지만 설치 규정은 물론 이를 규제할 법적 장치가 없는 것이 ... ...
생체 인식 여권 나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같은 기술이 군사용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일반 국민의 일상을 감시하는 ‘
빅
브라더의 덫’이 될 소지가 얼마든지 있다는 점이다.생체인식기술을 도입하기에 앞서 사회적 합의와 공공적인 감시 제도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