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같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주는 물질을 이용해 다이어트 약을 만들 순 없을까. 지난 3월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팀은 딸기, 포도와 같은 과일에 들어있는 ‘레스베라트롤’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논문에 따르면 12온스(약 340g) 만큼의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기준으로 나타낸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3차원 공간에서 세 번째 좌표를 빼놓을 순 없다. 바로 ‘높이’다. 높이는 육지에서는 해발고도, 바다에서는 수심이다. 특히 파도와 바람, 바닷물의 높낮이가 변하는 조석현상이 있는 바다에서 수심을 재는 일은 육지에서 고도를 재는 것보다 까다롭다. ... ...
- [Life & Tech] 여름이 추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거 봐. 조금만 있으면 이어지겠다!” 닿을 듯 말듯 미세한 틈을 두고 떨어져 있는 석순과 종유석을 ‘사랑의 기둥’이라며 호들갑 떠는 소녀를 보며, 소년이 말합니다. “얘들은 1년에 고작 0.1mm 자라. 그마저도 이제는 사람때문에 동굴이 너무 많이 망가져서 안 자란대. 수천 년이 지난들 석주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본입니다. 공학 분야에서 어느 진로를 선택하든 기계적인 요소를 모르고 일을 할 순 없거든요. 그만큼 다양한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과죠. 기계를 좋아하는 학생은 물론이고 ‘적성은 공대인데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학생도 환영입니다. 우리 과를 졸업하면 어떤 분야로도 진출할 수 ... ...
-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난코스 절벽을 통과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중 잘못된 문이 하나 있어요. 그걸 선택하는 순간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맙니다. 자, 과연 어떤 문을 피해 문을 열어야 할까요? 메뚝!”미션4 썰렁홈즈가 가야할 곳은 어디?“대체 곤충 탐험은 언제 하는 거죠? 전 곤충을 관찰하고 싶어서 모처럼 숲에 온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구했다. 그 결과 피부가 면역거부반응이 가장 강하고, 폐, 간, 심장, 신장, 콩팥, 췌장 순으로 약해진다고 보고했다. 의사들은 피부의 면역거부반응을 진정시킬 만한 약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피부가 많은 신체를 이식하려면 대단히 강한 약을 써야 하는데, 그 경우 정상적인 면역 반응까지 과하게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몇 해 동안 한강둔치에서 발견돼 한강을 기점으로 퍼져나간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지요. 그리고는 제주도 저지대에서 발견됐어요. 서양개보리뺑이도 처음에는 경기도 수원 근처에 있는 수인산업도로변에서 발견됐지만 곧 사라졌고, 우리나라 동쪽 끄트머리인 울릉도에서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임신을 하는 여성뿐만 아니라 아버지도 조심해야 된다.이 : 과학이 윤리를 이야기 할 순 없지만 후성유전학은 어쩌면 우리가 왜 올바르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했던 모든 경험의 총합이 우리 자식에서 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내 몸은 나의 것인 동시에 나의 후손의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니까, 모습을 보이면 큰 박수로 맞이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룡이 활개 치는 ‘쥬라기 월드’의 정중앙에는 거대한 수조가 위치해 있다. 이 수조 속에 몸을 ... 무시무시한 이빨과 턱을 가진 모사사우루스라도 우주에서 날아온 소행성의 위력을 견딜 순 없었다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느 순간 작은 힘에도 와르르 무너지는 것처럼, 계속 남자 얼굴로 보이던 그림도 어느 순간 아주 작은 차이로 여인의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다.지각성 모호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화가도 있다. 우스꽝스러운 콧수염으로 유명한 스페인 화가 살바도르 달리나, 채소로 초상화를 나타낸 이탈리아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