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문화재 런닝맨 창덕궁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미션종이를 제대로 읽지 않아서 두 모퉁이만 다녀왔거든요. 하지만 이대로 주저앉을 순 없죠! 화 모둠 모두 심기일전해서 재도전! 금천교, 인정문, 인정전, 대조전…. 땀이 날 정도로 열심히 드넓은 창덕궁을 누비느라 두 사람의 얼굴은 어느 새 단풍처럼 붉게 물들었답니다. OX 퀴즈에서 실력 발휘를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대답이라지만 좀 부끄럽겠는걸?내 몸 어디에서 냄새가 날까?헉~, 내 발 냄새를 맡고 순타로가 기절해 버리지 뭐야? 그런데 냄새가 나는 건 발뿐만이 아니라는 충격적인 소식이야. 온몸 구석구석에서 냄새가 난다고 해. 도대체 어디어디에서 냄새가 나는 걸까?땀사람의 몸에는 냄새를 만들지 않는 땀과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조류탐사를 시작으로 식물탐사 → 곤충탐사 → 식물탐사 → 곤충탐사 → 버섯탐사 순으로 탐사했어. 식물과 곤충탐사를 자주 한 이유는 그만큼 종류가 많기 때문이야. 실제 서울숲에서 발견된 분류군을 보면 관속식물이 333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류가 250종으로 그 다음이었지.이번 조사에서 ...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없어지는 쪽으로 옮겨주는 거지. 방파제를 중심으로 한 쪽으로 쏠리는 모래의 흐름을 순환시켜주는 방법이니까 양빈보다 훨씬 효과적이란다. 대책 2 모래를 꽉 잡아라, 해빈해수공법!모래를 붙잡아 두는 방법도 있어. 바닷물이 해안가로 올라왔을 때 물을 모래 아래쪽으로 빨아들이는 거야. 보통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여전히 필요하다.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스텔러레이터는 구조가 꽤 복잡하다. 왜 더 단순한 토카막이 있는데도 스텔러레이터가 아직 건재한 걸까. 토카막에는 난공불락의 단점이 하나 있다. 고용량의 플라스마 전류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최근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널리 쓰인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주전소, 전가, 서체, 부호, 천자문순, 숫자순, 오행순 등으로 그 종류만 무려 4000여 종에 달했다. 엽전 한 닢이 1문이었는데, 무게 단위인 ‘돈’과 ‘냥’이 화폐 단위에 쓰이면서 1관=10냥=100전=1000문이 성립됐다. 엽전 1문의 무게가 4.5g에서 9.4g 정도였으니,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주 공간에서는 에너지를 잃지 않고 고스란히 가지고 있다가 지구의 대기권에 들어온 순간부터 산소, 질소 분자와 충돌하며 지상으로 내려간다. 이 때 잃어버리는 에너지가 오로라로 나오는 것이다. 지상 90km 쯤에선 에너지를 모두 잃게 된다. 이곳이 정확하게 오로라의 끝단이다.오로라는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빠뜨려도 복구가 가능하다. 그러니 영화처럼 하드디스크나 메모리를 물에 던지는 것은 순 ‘뻥’이다.사실 하드디스크는 이런 물리적 충격보다는 ‘덮어쓰기’에 약하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데이터를 삭제해도 운영체제(OS)는 데이터를 바로 삭제하지 않는다. 대신 그 데이터의 주소만 지우고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뚫어 채취하고 고체는 광산 같이 터널을 뚫어 채취하게 됩니다. 처리는 개발한 자원을 순도 높게 가공하는 과정입니다. 이외에도 우리 과에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경제학이나 정책 같은 분야도 다루고 있습니다. 에너지자원개발의 모든 과정을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면서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설정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인간 게놈 연구 때 사용했던 전략을 활용해 유전자 순서대로 단백질을 분석하자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그 결과 2012년 9월 10일 염색체를 기준으로 삼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