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먼지, 이렇게 생기는 거였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매우 고운 우주먼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5월 6
일자
에 발표했다. 이런 식으로 우주먼지가 생성되는 과정은 이번에 처음 확인됐다.우주먼지는 별이 수명을 다해 죽으면서 생기는 잔해 중 하나다. 초신성이 폭발하며 강한 빛을 내면 이들 근처에 있는 우주먼지가 ... ...
맨틀과 외핵, 둘 다 흐르는데 왜 안 섞이지?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불혼화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8
일자
에 발표했다.지각과 맨틀 사이에는 불혼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보다 압력이 월등히 높은 맨틀과 외핵 사이에도 불혼화성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연구팀은 맨틀과 외핵의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생체시계 모델 만들어김 교수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 2015년 10월 1
일자
에 생체시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doi:10.1016/j.molcel.2015.08.022 1954년경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생체시계는 몸에 시계가 있는 것처럼 생명체의 생명 현상이 24시간을 주기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생체시계는 온도에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상 미토콘드리아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불량’ 미토콘드리아에 각각 형광물질을 표지한 뒤 이들을 추적했다.미토콘드리아는 긴 튜브 형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형에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스콧과 마크의 텔로미어 길이를 ... ...
4억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해삼의 조상 격인 4억3000만 년 된 해양생물 화석을 발견해 ‘영국왕립학회보B’ 4월 1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대 바다동물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영국 헤리퍼드셔주 라거슈타트에서 찾은 극피동물 13점의 화석 단면을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간격으로 잘라서 촬영해 3차원 ... ...
압전소자 성능 2배로 끌어올리는 비법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압력이 발생해 물체의 형태가 변하는 물질이다. 압전소자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빠르게 진동시키면 초음파를 만들 수 있다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의 최전선(Frontiers in Neuroscience)’ 2018년 8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혀와 연결된 신경의 크기가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doi:10.3389/fnins.2018.00534 연구팀은 원시 영장류인 포토(potto)는 음성을 단 두 개만 낼 수 있는 데 비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HeH+)을 우주 공간에서 처음으로 검출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천문학자들은 수소이온화헬륨이 약 130억 년 전 초기 우주의 물질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1925년 실험실에서 존재가 증명됐을 뿐 실제 우주 공간에서 검출된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며 응집하는 성질을 가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