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1초에 병뚜껑 몇 개를 따야 하는지 계산해 보자.정답과 해설1. ⑤번 파란색 문. 2. 그림 참조. 3. 1000개를 따고 5분씩 쉬면 모두 네 번을 쉬어야 한다. 4번×5분=20분. 56분-20분=36분. 36분을 초로 환산하면 2160초다.5000개를 2160초로 나누면 1초에 약 2.315개를 따야 하는 것으로 나온다. 따라서 1초에 3개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카를로 루비아 박사(토륨원전 ‘에너지증폭기’의 제안자. 과학동아 2012년 2월호 참조)는 ”액체아르곤을 이용한 신형 검출장비를 이용해 오류 가능성이 적다”며 “중요한 교차 검증을 수행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란사소와 CERN은 올해 5월 다시 한번 중성미자의 속도를 측정한다. 오페라와 ... ...
- 창의적 미래기업 이끌 꿈나무 키운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포스텍 영재기업인교육원은글로벌 리더십을 갖춘 과학인재를 창의적인 영재기업인으로 양성하고자 2009년 특허청과 포스텍이 손잡고 설립했다. 포스텍 영재기업인 ... 일정에 따라 변경가능)•기타 자세한 문의사항은 대표전화 054-279-8253 또는 홈페이지(http://ceo.postech.ac.kr)를 참조하세요 ...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항구가 공해 선박 쪽으로 움직여 물자를 실어나르는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다(44~45쪽 참조).선주회사와 선박 연구자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KAIST에서는 지난 2월 처음으로 선박 회사와 원전, 조선 연구자들이 모이는 학술행사도 열렸다. 이 자리에서 이필승 KAIST 해양시스템공학전공 교수는 해상 2~ ...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우주를 만들어낸다는 ‘다중세계 해석(과학동아 2011년 10월호 특집 ‘양자역학과 춤을’ 참조)’ 등이다.우주 너머의 우주, 풍경‘멀티 유니버스’는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을 눈에 보이는 비유를 통해 강의를 하듯 상세하게 풀어낸다. 같은 작가의 ‘엘러건트 유니버스’와 ‘우주의 구조’를 ...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펼쳐진 근육(족저근)에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2011년 6월호 ‘건강한 신발 찾아라’ 참조). 그래서 바닥을 푹신푹신한 폴리우레탄 소재로 깔면 발바닥과 지면 사이의 충격을 최대한 빨아들여 무리를 줄일 수 있다. 온 동네 길을 폴리우레탄 소재로 깔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주로 어린이들이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연구 과정은 ‘과학동아’ 2004년 2월호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참조). 2004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감마선 관측 위성인 스위프트(Swift)를 쏘아 올렸다. 예상 수명 5년을 훌쩍 넘어 지금까지도 작동하는 스위프트는 매주 두 개꼴로 감마선폭발을 발견하며 이 분야의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다시 토륨-232 또는 우라늄-233과 충돌해 핵분열을 지속시키는 순환 과정을 거친다(위 그림 참조).우라늄 원전은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성자의 수가 투입되는 중성자의 수보다 많아 계속해서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이 상태를 ‘임계상태’라고 한다). 하지만 토륨은 핵분열 과정에서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깨짐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6월호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힉스’ 참조) 보손은 양이자이론에서 나오는 입자의 고유 성질인 스핀이 정수인 입자다. 참고로 스핀이 반정수(정수+0.5인 형태)인 입자는 페르미온이라 부른다.표준모형에는 17개의 기본 입자가 있다. 쿼크 6개, 렙톤 6개, ... ...
- 두 발로 기록한 새만금 7년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생태지평 등과 함께 일본 해안 도시의 습지보호 사례를 취재간 적이 있다(과학동아 9월호 참조). 그 때 만나는 일본인 공무원이나 시민 단체 사람들, 생태사진작가들이 ‘도요새’나 ‘저어새’, ‘새만금’ 같은 우리말을 거침없이 쓴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새만금이야 지명이니 그렇다 쳐도,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