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d라이브러리
"
참조
"(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과 시조새, 그리고 그 외 다양한 원시 조류들을 대조군으로 삼았다(왼쪽 분류표
참조
). 그런 뒤 다양한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 분석해 목록을 만들었다. 이 자료를 컴퓨터로 처리해 형질 비교 자료의 집합인 ‘데이터매트릭스’를 완성했다. 예를 들어 치골의 위치가 같은지, 날개의 길이가 ... ...
어른을 위한 공룡 책!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까지 내놓자 인기는 절정에 달했다(46쪽 ‘시조새 논쟁 150년’ 기사
참조
). 발굴도 활발해져서 1970년대 이후 공룡 수는 이전의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1975년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이런 붐을 가리키며 ‘공룡 르네상스’라고 불렀다.최근 해외에서 들려오는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07년 11월호 90쪽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참조
)1998년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쥐에서 배아줄기세포주가 확립됨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은 인간배아줄기세포로 넘어갔다. 그러나 설치류와 영장류는 발생학적으로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먼저 원숭이의 배아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산사태 예보 시스템도 있다. 산사태는 대부분 비가 많이 올 때 발생한다(36쪽 그림
참조
). 따라서 기상청의 강우 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해당 지역 지자체장이 산사태 주의보와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그런데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인공적인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깝게 가속시켜서 강력한 전자기파(빛)를 발생시키는 장치다(과학동아 2011년 3월호
참조
). 이 전자기파는 태양보다 수백만 배 밝기 때문에 아주 작은 물체의 구조나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볼 수 있는 현미경을 생각해 보자. 식물의 기공 세포를 확대해 보려면 배율이 수백 배는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수증기를 머금은 뒤 북상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린다(과학동아 2009년 8월호
참조
). 하지만 올해는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리고서도 하루나 이틀 뒤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또 많은 비를 폭탄처럼 투하하는 일을 반복했다. 전문가들은 장맛비가 계속해서 내리기 위해서는 남쪽의 따뜻한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차이가 있고, 고속철도는 고속철도에 적합한 설계가 뒤따른다(과학동아 2009년 6월호
참조
). 고속철도와 1~4급선을 나누는 결정적인 기준은 무엇보다 선로의 ‘최소곡선반경’과 ‘최대기울기값’이다. 얼마나 휘어 있고, 얼마나 기울어져 있냐는 것이다. 결국 산이나 호수를 돌아 굽이굽이 만든 ... ...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한다”고 말했다(물론 이 가운데 실제로 직업성 암으로 보고되는 경우는 드물다. 83쪽
참조
).직업과 환경 요인은 앞서 언급한 다른 요인과 큰 차이가 있다. 바로 피할 수 없다는 것. 암에 잘 걸리는 음식은 적게 먹으면 되고 술과 담배는 끊으면 된다. 과체중이나 비만을 줄이고 개인위생에 신경을 쓰는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소형무인항공기 등 여러 장비가 갖춰져 있었다(장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78p
참조
). 가장 유용한 장비는 도플러레이더다. 레이더가 폭풍을 향해 빔을 쏘면 빗방울이나 수증기 입자, 얼음알갱이, 우박 등 여기저기에 부딪쳤다가 돌아온다. 어떤 것에 반사됐느냐에 따라 빔이 감소한 비율이 다르다.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탄생 이론을 완성해 ‘피지컬리뷰D’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여기에는 ‘끈(string, 그림
참조
)’ 이론을 이용했다. 끈이론은 서클(고리)과 같은 닫힌 끈과 끊어진 고리 모양의 열린 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드는 곡면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우리가 경험하는 3차원 공간과 시간 외에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