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은하
, 100억년전 위성
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구에서 관찰한 우리
은하
. 흔히 '
은하
수'로 불린다. -사진제공 ESO 우리
은하
가 100억 년 전 주변을 도는 작은 위성
은하
를 집어삼키며 성장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 일으키는 인물”이라며 “이번 연구로 가이아의 데이터에 깊이 묻혀 있던 진실이 우리
은하
를 뒤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 ...
2600개 외계행성 찾은 케플러 우주망원경 '영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때만 해도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행성을 찾아내지 못했었다”며 “케플러는 우리
은하
에 존재하는 무수한 행성의 존재를 우리에게 확인시켜줬다”고 말했다. 케플러가 태양계 밖의 세계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넓혀줬다는 설명이다. 케플러는 지난해 9월 토성의 고리 속으로 떨어지며 사라진 ... ...
마젤란이 본 위성
은하
'마젤란'은 충돌중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때문이다. 이 연구가 맞다면, 현재 소마젤란
은하
는 다시 한번 충돌하기 위해 대마젤란
은하
에 접근하는 중이다. 연구팀은 충돌이 언제 일어날지는 아직 예측하지 못했다. ... ...
중심에 거대질량블랙홀 2개 가진
은하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도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이 거대질량블랙홀들이 결국 충돌해 합쳐져 더 큰
은하
와 거대질량블랙홀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방출된 물질은 우주의 차가운 기체를 가열해 별을 탄생하게 하는 데 이용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축이 회전하며 물질을 여러 곳에 흩어지게 해 넓은 곳에서 ... ...
호주 사막 공원의 찬란한 밤하늘
팝뉴스
l
2018.10.20
오래 세월을 거쳐 조개껍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난달 촬영된 사진에는 우리
은하
(Milky Way Galaxy)와 목성(Jupiter)그리고 토성(Saturn)도 모습을 드러냈다. 거문고자리의 베가 등 유명한 별들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아무도 보지 않는 순간, 우주와 지구가 함께 눈부신 쇼를 펼치고 있었다고 하겠다. ... ...
탐사로봇은 실종, 우주망원경 또 고장…우주개발 '삐거덕'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분야의 영상을 제공해 왔다. 찬드라 X선 탐사선이 촬영한 대표적인 이미지인 '총알
은하
단'. 분홍색이 X선 영상으로, 물질(분홍색)과 중력원(파란색)이 일치하지 않는다. 강한 중력을 지닌 암흑물질의 증거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 제공 NASA 1990년 발사돼 1993년부터 운영에 들어간 대표적인 ... ...
"AI·로봇 연구 꿈도 꾸지마?"…늙어가는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10.03
수상 분야가 굉장히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우주 배경 복사의 기원과
은하
단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 영국 천체물리학자 마틴 리스 박사는 “노벨상에는 화학, 물리학, 그리고 생리의학 단 세 가지 분야만 있다”며 “컴퓨터 과학이나 로봇 공학 또는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국제적 담론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변덕쟁이 청색변광성 폭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교수는 “기존 예상보다도 더 짧은 시간에 큰 폭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
은하
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성의 물리현상을 밝힌 이번 연구 결과는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는 새로운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2018노벨상]올해 어떤 분야가 상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교수는 “
은하
의 움직임이 우주의 온도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서나예프나
은하
의 기원을 추적하는 수식을 제안한 파버가 중요한 역할을 한건 맞다”면서 “하지만 우주론 내에서 (
은하
연구가) 지난해 100년만에 존재가 입증된 중력파와 같은 무게감이 있는 분야는 아니라 노벨상 수상까지는 ... ...
‘중성자 별’ 충돌 때 나오는 다양한 신호로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고밀도의 ‘중성자 별’ 두 개가 충돌하며 발생한 중력파였다. 1억3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NGC 4993)에서 발생한 이 현상에 대해 과학계에선 GW170817이란 이름을 붙였다. 당시 8월 17일 오후 9시 41분(한국 시간), 미국과 유럽의 지상 중력파 검출 시설에 한 짧은 중력파가 처음 포착됐고, 이어 2초 뒤 엄청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