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90억년 밖...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그 뒤에 있는 천체가 확대되어 보이는 '중력 렌즈' 현상 덕분이었다. 50억 광년 거리의
은하
계가 90억 광년 떨어진 별을 확대해 보여주는 거대한 '우주 망원 렌즈' 역할을 한 셈이다. 통상 이같은 중력 렌즈는 천체를 50배 가량 확대해 보여주지만, 이번 경우엔 다른 별이 우연히 적절한 위치에 ... ...
암흑물질 거의 없는
은하
첫 발견… 우주론 뒤집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발견했으니 수정뉴턴역학의 가정은 틀린 셈”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오 연구원은 “
은하
의 회전속도가 아닌 내부 천체의 시선속도로 총 질량을 추산한 것은 간접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후속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
우주가 그린 수채화는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크레이터 호수 국립공원에서 촬영한
은하
수다. 칼데라 호수 위로 마치 연기처럼 보이는
은하
수와 그 아래 고사목 한 그루가 담겨 있다. 태양계 분야 은상 ‘2017 개기일식 코로나’ 김상욱作 - 2017년 8월 21일 미국 아이다호주 로버츠시에서 촬영한 개기일식.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순간에 보이는 ... ...
빅뱅의 순간으로 시간여행, 우주 최초의 별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3.17
수 있는데, 초기 우주 때 생긴 별과
은하
들이 우주 팽창과 함께 병합하는 과정에서 우리
은하
로 편입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켈러 박사팀은) 중원소량이 매우 적은 것을 근거로 SMSS가 초창기 별이라고 분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마선 폭발 흔적 찾아....최근 전파망원경으로 흔적 ... ...
빅뱅 후 2억년, ‘우주의 새벽’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3.01
보우만 교수는 “이때의 빛은 초기 우주에서 생긴 최초의 별뿐 아니라 블랙홀과
은하
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이번에 발견한 빛보다 더 오래된, 태고의 빛을 발견할 거란 보장은 없다”이라고 말했다. 이 신호의 특징을 연구하면 초기 우주에서 일반 ... ...
트럼프, 올해도 기후변화 연구 대거 취소 권고…차세대 대형 우주망원경 ‘WFIRST’도 ‘킬’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수 있는 이미지를 WFIRST로는 1장만으로도 얻을 수 있다. WFIRST의 임무에는 우주공간상의
은하
분포 3차원 지도화, 우주의 팽창속도 측정도 포함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권 초부터 화성 유인탐사 같은 심우주 탐사와 우주 산업화를 강조해온 만큼 천문학 부문의 예산 삭감을 예상한 NASA는 36억 ... ...
‘위성
은하
’가 우주에서 줄 맞춰 도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지구에서 1500만 광년 떨어진 센타우루스 알파. 최근 그 주위를 도는 위성
은하
의 위치와 움직임을 연구한 결과 기묘하게 한 평면상에 위치한 채 일 ... 띠 모양의 우주 구조를 먼저 만들고 그 안에 물질이 (마치 빨랫줄에 빨래가 걸리듯) 모여
은하
가 탄생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블랙홀 주위 생긴다는 ‘원반형 충격파’ 실존 증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3
테타렌코 교수는 “이번 연구는 원반형 충격파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라며 "향후
은하
의 생성비밀을 밝히기위해 우선 원반형 충격파의 발생 과정부터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들려오는 굉음, 중성자별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등과 공동으로 FRB 121102가 지구에서 약 30억 광년 떨어진 왜소
은하
의 별 생성 구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네이처’ 4일 자에 발표했다. 그러나 라디오파열음의 발생 원인이나 인근 환경의 특성에 관해서는 여전히 밝혀진 바 없었다. 헤셀스 교수팀은 ... ...
2018년 기대되는 우주 탐사 계획들
2018.01.07
전파망원경이 동시에 블랙홀을 관측하는 방식입니다. 표적은 바로 궁수자리 A*, 우리
은하
중심에서부터 2만6000광년 떨어져있는 초대형 블랙홀입니다. 천문학자들은 이미지를 찍기 위해 지구 전체 크기의 망원경 성능을 구현했습니다. 현재는 관측한 방대한 데이터를 검증하고 이미지를 결합해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