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것과 같다. 또한 우주 전체는 중력파로 인해 계속해서 진동을 하고 있을지 몰라도 우리
은하
에서는 폭발적인 사건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더 먼 곳을 살펴봐야 하는 셈이다. 미국 레이저간섭계관측소(LIGO)에서 관측한 첫 중력파의 기원. 13억 광년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 질량의 각각 29배, 36배인 두 ... ...
블랙홀 충돌로 네 번째 중력파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을 이끄는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지금까지는 어느
은하
에서 블랙홀이 충돌했는지 알 수 없지만 인도와 일본이 곧 새로운 검출기를 가동하면 충돌 위치의 정확도가 한결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
페루 사막의 우주 쇼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팝뉴스
l
2017.09.21
것처럼 보인다. 사막은 아름다운 지구의 표면이다. 그 위를 사람이 걷는다. 밤하늘에는
은하
가 흐린다. 게다가 달과 금성이 가까이 붙어 있다. 프랑스의 ‘밤을 찾는 사람들’이 발표한 ‘2017년 최고의 야경 사진’ 입상작이다. 자연의 거대함 그리고 압도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만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케플러 초신성 이후 400년이 넘도록 조용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1437년 신성 폭발을 일으킨 백색왜성이 동반성에서 물질을 ... ...
해파리
은하
중심에 거대 블랙홀이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7
운동량을 잃고 중심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다”며 “특히
은하
의 반경이 작고 이동속도가 빨라 자체 중심으로 작용하는 힘이 크면 차가운 가스가 모여 블랙홀을 만들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은하
회전 속도 차이 나는 이유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8.03
가설이 사실이 아님이 입증됐다. 연구팀은 “병합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아니라, 타원
은하
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별이 탄생하는 중심부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각운동량이 낮은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7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10.3847/1538-4357/aa789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프란초스 교수는 “저자들의 모형이 흥미로운 대안이지만 SN1991bg 같은 초신성이 우리
은하
의 양전자와 칼슘44의 기원이라고 단정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하면서도 “그럼에도 두 오래된 퍼즐을 한 번에 설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간과하기에는 너무나 매력적”이라고 덧붙였다. 일상의 ... ...
최근 기술 급진전한 北 미사일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05
반드시 연료와 함께 넣는 ‘산화제’로는 사산화질소 등을 주로 사용한다. 실험용이었던
은하
3호나 광명성호도 마찬가지다. 흔히 액체연료는 우주발사체에 적합하고, 고체연료는 무기로 쓰기에 적합하다는 얘기가 많지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액체연료는 발사 직전 연료를 주입해야 하므로 ... ...
러 탄도탄 분해해 기술 배운 北, 40년만에 ICBM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7.06.05
2012년 12월에는
은하
3호 발사에 성공했다. 실제 위성을 궤도에 올려 둔 것. 2016년
은하
3호와 동일한 ‘광명성호’를 발사해 인공위성을 다시 한 번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했다. ○ 장거리 미사일 기술 구축 꾸준히 기술을 축적한 북한은 최근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 ... ...
[서울시립과학관 개관]화성, 토성… 태양계 행성이 손에 잡힐 듯 생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얼음 조각으로 이뤄진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를 감상한 뒤 태양계를 벗어나자 우리
은하
의 나선팔이 몸을 휘감았다. 과학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인 서울시립과학관이 19일 문을 열었다. 서울 노원구 하계동에 자리 잡은 서울시립과학관은 서울시가 세운 첫 청소년 과학관이다. 가장 큰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