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아킬레스건’ 저장문제 연료전지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려는 정부 계획이 과연 현실적이냐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지형
특성상 태양광, 풍력 에너지가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부지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인한 사회적 갈등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반대로 일각에서는 기술에 대한 투자로 발전 효율을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구멍이 많은 바위로 이뤄져 밀도가 낮다는 사실도 밝혔다. 파편 같은 암석이 쌓인 듯한
지형
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근적외선 측정을 통해 류구 표면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지구에서 발견되는 열 및 충격으로 변형된 콘드라이트 운석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콘드라이트 운석은 ‘시원운석’, ... ...
日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류구’에 새긴 흔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색을 가진 어두운 부분은 하야부사2가 터치다운을 하면서 남긴 흔적이다. JAXA측은 “
지형
이 변색된 이유는 알 수 없다”면서도 “우주선의 추력기나 탄환에 의해 발생한 모래의 흔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하야부사2는 류구 표면의 샘플을 채집하기 위해 이번 터치다운을 시도했다. 지난 21일 ... ...
[기고]인류 과거를 밝히는 탐정 '고고학자'
2019.02.24
칼리드로몬산의 절벽과 바다가 만나는 좁은 통로에서 벌어졌다고 썼습니다. 이런
지형
적인 이점을 최대한 활용했기 때문에 턱없이 적은 수의 그리스 군대가 기적적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는 겁니다. 그런데, 막상 고고학자들이 찾아가 보니 그곳에는 바다가 없었습니다. 가장 가까운 바다도 5km나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극지연구소 선임기술원은 극지 연구에 활용할 소형 육상 로봇 개발에 나선다. 이들은
지형
변화가 심하고 균열이 많은 극지에서 과학 연구가 가능한 10kg 미만급 휴대용 극지 과학임무 로봇을 개발한다. 이 밖에 판철호 KIST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김상희 극지연구소 ... ...
지구 온도 4도 오르면 인천·김해국제공항 모두 잠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클라이메이트 센트럴’이 내놓은 ‘매핑 초이스’가 분석한 기후변화로 인해 한반도
지형
이 바뀌는 모습의 한 단면이다. 기후변화는 심각한 문제라는 경고의 메시지가 학계 곳곳에서 나오지만, 기후변화는 여전히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단층이 어떻게 분포됐는지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다. 이와 함께 양산단층이 해저
지형
과 어떻게 연장돼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지고 있다. 양산단층이 남쪽으로 해저 단층과 연장됐는지는 어느 정도 파악됐다. 김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저활성단층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잘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로봇의 이동에 제약이 된다. 특히 로봇은 갑작스레
지형
이 바뀌는 재난 현장 혹은 사전정보를 알 수 없는 외계 행성 같은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게 될 확률이 높다. GPS에 의존해서 로봇이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려는 기술이 자율주행차의 핵심 ... ...
남극해에서 ‘솟아오르는 맨틀’ 발견…‘맨틀 표준모형’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맨틀’과 ‘인도양형 맨틀’이라는 두 개의 맨틀이 서로 부딪혀 아래로 가라앉아 형성된
지형
으로 봤다. 이 지역에 위로 솟구치는 맨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더구나 지구 전체적으로는 호주-남극 부정합 외에 필리핀 부근 바다 등 서태평양에서 맨틀이 하강하고, 하와이 등 동태평양과 ... ...
HD화질로 본 ‘울티마 툴레', 표면에 지름 0.7㎞ 구덩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영상 덕분에 NASA 연구진은 직경이 최대 0.7㎞에 이르는 크고작은 구덩이 등 울티마 툴레의
지형
적인 세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 또 영상에 나타난 명암 정보는 45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되는 동안 울티마와 툴레가 어떻게 한 몸으로 붙을 수 있었는지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명암을 통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