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8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흙 지구로 보내라”… 2년후 발사할 탐사로봇에 특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표면과 궤도 위에서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어야 한다”며 “각국이 무인 탐사 로버로
지형
, 지질 정보를 얻는 이유”라고 말했다. 화성을 탐사한 로버의 성과와 향후 탐사계획의 현황-동아일보 DB 제공 ... ...
[과학도시를 만나다]① 과학자들은 왜 독일 외딴도시 예나로 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독일 정부는 1990년 통일 직후부터 동독에 여러 연구기관을 설립하면서 독일의 연구
지형
을 새롭게 재편하기 시작했다. 예나의 라이프니츠 광학기술연구소와 프라운호퍼 응용광학 및 정밀공학연구소도 1992년 설립됐고, 그뒤를 이어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와 생물지구화학연구소가 각각 199 ... ...
달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입구를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용암동굴은 달 기지의 후보지로 꼽히는 중요한
지형
이지요. 용암동굴은 화산이 폭발한 뒤 용암이 흘러나오면서 만들어져요. 흘러나온 용암은 바깥쪽부터 서서히 굳는데, 안은 여전히 뜨거운 상태예요. 이때 안쪽 용암이 바깥으로 빠져나오면 용암동굴이 되지요. ... ...
바다밑 지도 가장 싸고 빠르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1
수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X프라이즈 위원회는 “현재 정확한 해저
지형
을 알고 있는 바다는 가장 깊은 곳과 비교해 15%정도 이내 뿐이라 매우 의미가 큰 대회”라고 밝혔다. 기술평가 형식의 예산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21개 팀은 지난 한 해 동안 2000m 해저에 자율주행 수중 ... ...
[전지적 수학시점] 골치 아픈 포물선…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서 총 잘쏘는 비법은?
수학동아
l
2018.09.25
지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면 중수라고 생각해요. 지도를 보지 않아도 적절한
지형
으로 이동하고 숨을 수 있을 때까지 연습해 보세요! 딩셉션 제공 결국 거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지도에 있는 격자를 이용해 거리를 대강 알 수 있으니 잘 활용하기 바랍니다.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2관. 세계 최초의 로켓과 최강 군함
2018.09.21
이처럼 크게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죽을 각오로 앞장서서 싸운 뛰어난 리더십과 바다와
지형
을 잘 활용한 전술, 그리고 대형포를 장착한 거북선을 비롯해 우리 전함의 장점을 잘 활용했기 때문이다. 영화 명량에 등장하는 거북선. 명량해전에 거북선이 쓰이지는 않았지만 영화에서는 건조 중이던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1관.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이다
2018.09.21
거리가 직선거리 90리(약 35.3km)로 파악되지만 실제로는 오르내림이 심한 산악
지형
이어서 더 멀다. 기존 지도 정보를 토대로 여정에 나섰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보령시, 전라북도 익산시, 군산시에 걸쳐 있다. 오른쪽 위에서 흘러와 서해로 ... ...
[카드뉴스]화성대접근 관측포인트3
동아사이언스
l
2018.07.27
부분과 선들을 보고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생각했죠. 사실 대협곡이나 높은 산과 같은
지형
입니다. 태양계 최대 협곡 '마리네리스'를 볼 수 있는 날이니 놓치지 마세요! 포인트3. 남서쪽 하늘의 개기월식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을 이룰 때 나타납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 ...
화성에 생명체 필수조건 ‘액체상태 물’ 새 단서…“남극 밑 반경 20㎞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이 레이더는 얼음을 투과하는 저주파를 쏜 뒤 돌아오는 반사파로 지표면 아래의
지형
과 구조, 전자기적 특성 등을 알아낸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생명체는 액체 상태의 물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 때문에 액체 상태의 물은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으로 꼽힌다. 연구진이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미래 화성 거주지는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어떤 모습일까. 거주지 1순위로 꼽히는 곳은 크레이터와 같이 자연적으로 움푹 패인
지형
이다.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고 둥근 형태의 차폐막을 만드는 게 가장 안전하다. 지하에 건축물을 짓고 그 사이를 터널을 뚫어 연결하면 마치 개미굴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