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앞으로 어떡해야 할지 복잡한 계산에 들어가야하고 그 결과 과부하 걸린 컴퓨터마냥
뇌
가 버벅거리게 되는 것이다. 잠깐 찾아온 불확실성에도 데미지가 심한데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 그만큼 마음 시스템은 극심한 피로와 번아웃을 겪게 될 수 밖에 없다. 요즘 들어 유난히 의욕이 없고 쉬고 ... ...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변화하는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랜트 교수는 “이런
뇌
의 변화와 관련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며 “나이가 들어가며 생기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공동연구팀은 태아의 소
뇌
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
종양을 퇴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3억9400만 달러(당시 약 435 ... ...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인공 망막 장치로 시력을 회복한다. 망막 변성 질환에 걸려도 광수용체 세포 뒤에서
뇌
로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절 세포가 살아남기 때문에 안구내 마이크로 전극을 이식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원리다. 그러나 인공 망막 장치를 이식받은 환자마다 성능에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그동안 원인을 ... ...
임신중 첫 태아 전파 사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출생 초기에는 건강해 보였지만 3일째 염증 반응이 나타났다. 근육경련으로 인해
뇌
막염의 일부 증상이 나타난 것이다. 신생아에 대한 특별한 치료는 이뤄지지 않았다. 의료진은 에볼라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투여를 고려했지만 신생아가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데루카 ... ...
알츠하이머 환자 코로나19 감염 위험 더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위험이 더 큰 셈이다. 연구진은 “노년층에서 치명률이 높은 코로나19 진단과 퇴행성
뇌
질환을 보유한 노년층에 대한 다각적인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이라면 코로나19 예방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고 밝혔다 ... ...
뇌
졸중 후유증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이창준(왼쪽)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과 김형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뇌
졸중 ...
뇌
질환에 동반되는 기능해리 유발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별세포 조절로 향후 다양한
뇌
질환 후유증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호흡기 질환이라던 코로나19 '온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9 증세가 심할수록 혈소판 응집 현상이 많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이 심장마비나
뇌
졸중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심장, 신장, 췌장, 담낭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소장은 ... ...
[의학게시판] 지적장애·
뇌
전증 유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교수팀은 지적 장애와
뇌
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CYFIP2’ 유전자의
뇌
기능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CYFIP2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CYFIP2의 발현이 감소된 마우스의 신경세포는 정상 마우스의 신경세포에 비해 시냅스의 크기가 커져 있었으며, 신경세포의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재생을 위한 세포 가소성을 연구한 임대식 KAIST 교수(맨 위 사진 오른쪽), 심장과 면역,
뇌
상호작용을 규명한 오구택 이화여대 교수, 지방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한 김재범 서울대 교수, 단백질 분해 과정을 연구한 황철상 포스텍 교수가 선정됐다. 기초의과학 분야에서는 면역지질대사를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