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들이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 고규영 단장·김범태 단장·장혜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머니투데이 정보미디어과학부 차장이 선정됐다. 올해의 의과학취재상 과학부문은 ‘
뇌
우주 탐험’ 시리즈로 국내외 연구현장을 소개한 노성열 문화일보 경제부 부장, 사이언스톡, 사이언스 브런치 등 과학코너로 어려운 과학에 쉽게 접근하도록 한 유용하 서울신문 과학전문기자, ‘한국 과학이 ... ...
불규칙한 수면 원인은 뚱뚱해서거나 나이 때문이거나, 치매에 걸려서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있다. 일주기리듬은 인간이 24시간 주기에 맞춰 살아가도록 조절하는데, 밤 9시경이 되면
뇌
속 멜라토닌 호르몬을 분비해 수면을 취하게 유도한다. 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마이클 영 미국 록펠러대 교수 등은 일주기리듬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PER 라는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 ...
[과학자의 서재]노벨상 수상자의 삶에서 ‘책’을 찾아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입학한 후 법률가로 장래를 바꿨던 그는 범죄심리학에 관한 책을 읽던 중
뇌
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책에 빠졌다. 화학에 깊은 매력을 느낀 프리고진은 브뤼셀자유대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전공하게 됐다.프리고진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거시적으로 안전한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새는 어떨까. 사람이나 꿀벌과는 달리 새는 네 가지 옵신으로 빛 파장의 정보를 받아들여
뇌
로 보낸다. 4색형 색각을 지니고 있다. 새에 따라 지각할 수 있는 파장의 범위가 다른데 많은 종이 자외선에서 빨간빛까지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벌새는 사람과 반응 범위가 비슷한 세 가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곁에 있으면 덜 아픈 이유
2020.10.31
부위가 상당 부분 겹친다든가(외로움이나 소외감을 느껴도 신체적 통증을 담당하는
뇌
부위들이 활성화), 이렇게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 고통 사이에 의외의 긴밀한 관계가 있어서 ‘타이레놀‘ 같은 진통제를 먹음으로써 외로움도 다소 줄일 수 있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이 외에도 얼음 물에 손을 ... ...
TV 보며 스마트폰 함께 보면 기억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해 기억 능력을 검사했다.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동공 변화와
뇌
전도(EEG)를 통한
뇌
후부의 알파파 변화를 관찰했다. 동공과 후부 알파파는 주의력 상실과 산만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TV를 보면서 문자를 보내거나 음악을 듣는 등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많은 매체에 노출되는지를 설문조사했다. ... ...
‘
뇌
전증 치료제’·닥터앤서 등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참여하는 온라인투표를 도입했다. 신희섭 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의 트라우마 치료
뇌
회로 연구와 황성연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이 개발한 비닐봉투용 고강도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기술 개발 등이 국민들의 공감대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성과는 과기정통부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기술미래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한국물리학회 등 과학기술 분야 9개 학회가 참석했다. 권재영 성균관대 교수가 퇴행성
뇌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을, 이윤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가 노화개선·극복을 위한 다학제간 융합기술을 발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의 디지털 뉴딜 ... ...
[과학자의 서재]"본캐는 연구원, 부캐는 독서광"
2020.10.23
책을 읽고 있다. ‘이런 책을 읽으면 연구에 도움이 되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뇌
과학에 관심이 많아 예술과 신경과학을 융합하는 책을 읽고 강의도 하지만, 독일 화학자 아우구스트 케쿨레가 꿈에서 영감을 받아 벤젠 고리를 발견한 것처럼 책에서 ‘영감’을 받는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제한을 받을 때 일어나는 시상하부와 혈액의 대사체 변화를 비교했다. 시상하부는
뇌
에서 섭식 행동과 체온을 조절하는 일을 하고 혈액은 여러 신체 기관의 생리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대사체 비교 결과 온도가 칼로리 제한과 관련된 대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시상하부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