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원 입체 영상의 마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해보는 사람은 10-30분 정도 연습이 필요하다.교차법손가락 하나를 코에 가까이 가져가
본
다. 눈은 안쪽으로 쏠린 사팔눈이 될 것이다. 또는 책과 눈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이나 연필 등을 세우고 그 끝을 주시한다. 시선이 그 끝에 모아지면 시선 그대로 책을 의식한다. 초점이 책에 맞지 않을 것이다.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어느 순간 객석이 1백80도 회전하면서 하나의 화면으로 합쳐지는 70mm 합체극장. 프리쇼를
본
관람객은 자신도 모르게 두개의 영화관으로 나뉘어 들어가게 된다. 하나는 동물이 주인공이 된 '동물의 심포니'이며 다른 하나는 식물이 중심 소재가 되는 '꽃의 낙원'. 장대비를 피하며 숲속에 잠이 든 소년 ... ...
개불알꽃으로 더 잘 알려진 복주머니꽃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약재상에서 수백 촉의 복주머니꽃이 검정비닐 안에 마늘단처럼 무더기로 담겨 있음을
본
적이 있다. 이런 식으로 채취된다면 머지 않아 자연속에서 이들 아름다운 꽃들을 보기가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다.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유전자 자원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이들 식물의 자연생육지 보존대책이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또한 경희대의 육창수 교수는 후박나무(Machilus thumbergii S. et Z.)를 한후박(韓厚朴), 일
본
목련(M.obovata)을 일후박(日厚朴)이라 구분하고 있다. 한약명으로서는 이것이 매우 타당하며, 약효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더욱 과학적이라 여겨진다.삼지구엽초와 산꿩의 다리설악산 등지를 찾아가면 '산꿩의 다리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전혀 다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국제학회에서 보고된 중성미자를 통해
본
태양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중성미자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우리가 지금까지 전혀 볼 수 없었던 태양 내부의 모습도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도 수십억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통과하고 있지만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하실 것이다"라고 위협했다.그날 밤, 콜룸부스가 말했던 대로 월식이 일어났다. 이것을
본
인디언들은, 하느님이 노하셔서 자기들에게 재앙을 내리신다고 벌벌 떨고는 먹을 것을 잔뜩 가지고 와서 사과했다고 한다.옛날 사람들이나 미개한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일식이나 월식도 오늘날에는 몇 시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발견했기 때문이다.그들은 인접한 몇개의 은하내 별들의 운행속도 분포를 관측해
본
결과 암흑물질이 한 은하에서 다른 곳으로 흘러가버린 흔적을 발견한 것이다. 처음 그들은 여러개의 나선은하가 모여 있는 은하단에 대해 각각의 은하에 대한 도플러 효과를 면밀히 조사했다. 이 결과 매우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왜곡돼 있다고 밝혔다. 즉 이는 아인슈타인의 두뇌조각과 일반인 11명의 두뇌를 비교해
본
결과에 불과하므로 '73%'라는 수치는 정확한 것이 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가 확실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50명의 두뇌 샘플이 필요하다는 것.게다가 아인슈타인이 일반인보다 많은 글리어 세포를 ... ...
이론과 실제 공기 저항으로 큰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데 있어서 기
본
이 되는 것은 자유낙하운동이므로 먼저 자유낙하운동에 대해 알아
본
다음 포물선운동과 '원숭이와 사냥꾼 문제'를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화면에 나타내 보자. 무거울수록 빨리 떨어질까? 갈릴레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무거운 물체일수록 빨리 떨어진다'는 ... ...
왜 겨울달이 여름달보다 길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양력과 더불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는 음력. 음력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1895년(고종 32년)관보에는 다음과 같은 조칙(詔勅)이 실렸다.官報 號外 ... 폐지하면 점치는 사람들이 곤란해져 점차 이들이 수도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본
다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