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심화된 과학교육을 실현하는 일이다.“물리 화학 생물 등 여러
분야
를 연결해서 과학을 가르치면 누구나 흥미로워하며 좋아하게 마련이죠. 하지만 현재 교재나 교육체계는 그렇지 못해 과학이 재미없게 인식되고 있어요. 적절한 자료와 교습법을 하루빨리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유전체에서 발현된 단백질’(PROTEinexpressed by a genOME)을 뜻한다. 단백질체를 연구하는
분야
가 바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설탕 가고 새 당 온다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특집3. 사람 살리는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 줄기세포 전문가는 “설사 처녀생식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실제로 의학
분야
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1. 줄기세포 희망심기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매년 초면 카지노와 오락의 도시로만 알려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세계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IT기술 무한 경쟁의 장인 ‘국제가전전시회’(CES)가 열리기 ...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
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연결되면서 과학자의 예술관을 함께 담아낸 작품을 선보일 참이었다. 그러나 연구
분야
와의 직접적인 연결은 만만치 않은 작업이었다. 과학자의 예술관 역시 작가의 예술관과는 상당한 괴리감이 있었다.어느 날 이 작가가 마음에 두고 있는 작품 형태를 묻는 질문에 문 박사는 “반 고흐나 다빈치의 ... ...
올해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석유나 석탄을 태울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진흥
분야
수상자인 이 교수는 2005년 8월 이화여대에서 열린 제13차 세계여성과학기술인대회 조직위원장으로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그는 2005년 12월부터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을 맡고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원자로로서 주목되고 있다 다양한 목적에 병용 사용되는 원자로 특히 발전 이외의 비전력
분야
에서 원자로의 열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원자로이다 또한 고온가스로(爐)는 그 열에너지를 직접 여러 가지 산업에 이용하는 데서 이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다발성의 원발성골종양(原發性骨腫瘍)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키워 성공의 기틀을 닦았다.벨과 그로브너는 과학의 범위를 자연사(natural history)
분야
로 넓혀 잡았다. 어렵고 전문적인 과학논문 대신 자연과 사람들 모습을 모두 사진에 담아 읽기 편한 문체, 재미있는 기사들로 잡지를 채워갔다. 이러한 벨의 편집전략은 당시 세계로 팽창하던 미국 제국주의의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3개는 새로 발견한 이중성이었다.이 같은 그의 관측 기록은 실로 대단한 것이어서 이중성
분야
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스트루베 본인도 당시의 가장 뛰어난 관측 천문학자로 이름을 날리게 됐다. 또 1839년 무렵 그는 베가의 시차에 관한 발표를 해 베셀과 경쟁하기도 했다.이후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복제 고양이를 만든 순천대 동물자원학과 공일근 교수는 “배반포기까지 만든 것도 이
분야
에서는 앞선 기술”이라고 말한다. 2001년 미국 어드벤스트 셀 테크놀러지(ACT)의 호세 시벨리 박사도 인간 배아복제에 성공했지만, 배아가 배반포기 전에 죽고 말았다. 그러나 연세대 의대 김동욱 교수는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