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위적으로 세포가 자성을 띠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어요. 하버드대학교 의학대학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부풀릴 때 사용하는 미생물인 이스트에 ‘페리틴 단백질’을 결합해 자성을 갖는 이스트를 만들었어요. 페리틴 단백질은 사람의 몸에도 있는 단백질로, 산소를 옮기는 적혈구 속의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온 다양한 물리학자들이 사용하도록 만든 가속기 시설이다. 우리의 역할은 각국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온 학자들이 자신의 실험을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엔지니어와 기술자다. 그래서 우리는 물리학자보다는 엔지니어를 더 많이 고용한다. 시설을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말을 들었지만, 당시에는 그 중요성을 미처 보지 못했노라고 고백했다. 이로써 그가 대학원생 해밀턴을 소개받았을 때 보인 무반응이 어느 정도 설명이 되는 셈이다. 잠깐, 드디어 해밀턴과 메이나드 스미스가 한 판 붙게 됐다고 성급히 기뻐하진(?) 마시라. 메이나드 스미스는 할데인 대신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받는 것이다.노벨상 후보자 추천 요청을 받는 사람은 과거의 노벨상 수상자와 학자, 대학교 및 학술단체 직원이다. 자기 자신을 추천할 수는 없다. 노벨상은 평화상을 제외하고는 개인에게만 준다. 또 죽은 사람은 수상 후보자에서 제외하지만, 생전에 후보자로 지명되면 죽고 나서도 받을 수 있다.20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니라 멸종 속도가 빠르다는 것과, 그게 사람 때문이라는 거예요. 작년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제라르도 세바요스 박사팀은 현대에 들어 멸종 속도가 100배 빨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1500년 이전의 척추동물 멸종 속도와 이후의 속도를 비교한 결과였죠. 1500년 이전에는 100년 동안 1만 종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제풀이 과정을 가장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거예요. 1980년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세이모어 페퍼트 교수가 처음 제안한 후,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의 부사장인 지넷 윙이 사용하며 널리 퍼지게 됐답니다.예를 들어 지도를 보고 목적지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찾아낸다고 해 봐요. 길을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일반상대성이론’의 기초가 된다.아인슈타인은 사실 리만 기하학에 대해 잘 몰랐다. 대학 동기였던 수학자 그로스만이 아인슈타인에게 리만 기하학 같은 고등 수학을 가르쳐주면서 알게 됐다. 결국 아인슈타인은 중력에 의해 휘어진 시공간을 생각해냈고,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당시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자다. 하디는 영국 윈체스터 사립학교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입학한 지 2년 만에 케임브리지대 우등 졸업 인증 시험에서 수학 부문 4등을 했다.하디는 수학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많은 수학자를 미치게 한 리만 가설에서도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된 날 저녁, 지도교수 사울레스 교수와 맥주집에서 찍은 사진. 대학원생 시절,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적힌 공식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글을 남겨달라”는 문구를 책에 써 뒀다. 독자와 소통하는 솜씨가 남달랐다. 재직 중인 대학에서 최근 과학소통 담당 교수로 승진했다더니, 괜히 그런 게 아니었다.기자는 문명 재건에 필요한 또 다른 물건으로 콘돔을 떠올렸다. 종말 후 빨리 인구를 늘려야 한다는 압박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싶지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