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었다.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 교수는 수요일마다 공을 차는 아마추어 축구선수다. 대학시절에는 득점왕을 차지했던 뛰어난 공격수였다. 공 하나로 소통하는 축구의 미덕을 닮아서일까. 그의 고분자 나노소재 연구실은 고분자팀과 나노소재팀으로 나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소통에 적극적이다.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스페이스X는 지난 1월에 ‘하이퍼루프 공모전’을 열고, 여기서 우승한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팀과 함께 올 8월까지 하이퍼루프 시스템을 건설할 계획이에요. 이외에도 미국의 기업 *HTT와 *HT도 하이퍼루프를 개발하고 있어요. HTT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캘리포니아주에 8km의 튜브를 건설하고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친구들은 봄처럼 설레는 마음을 안고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향했어요. 대학원 연구실에 가 보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조금 긴장이 되기도 했지요. 그런 기자단을 맞아 준 것은 환한 얼굴로 시소를 타고있는 연구원들이었답니다.시소 말고도 재미있어 보이는 여러 놀이기구들이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 이른바 ‘크라우드 매스(Crowd Math)’를 시작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온라인상에서 공동연구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한 것이다.국제수학올림피아드 문제가 2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문제라면, 여기에 실린 문제는 언제 풀릴지 시간을 가늠할 수 없다. 미해결 난제처럼 기발한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학자도 있다. 고래 보호 활동을 하고 있는 미국의 오션얼라이언스사와 올린공과대학은 고래가 내뿜는 물을 수집하는 드론 ‘스놋봇’을 개발했다. 고래가 등으로 뿜는 물(콧물)을 수집해 DNA를 분석하면, 고래의 생태뿐만 아니라 고래 몸 속으로 흘러 들어간 오염 물질 등을 알아낼 수 있다.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명들이 살 곳을 잃고, 생명다양성도 줄어들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사라 프레이 박사팀이 오래된 숲이 지구온난화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숲은 중앙 부분에서 시작해 바깥쪽 방향으로 점점 퍼져나가기 때문에 숲의 가운데 부분이 바깥쪽 부분보다 ...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0시간 동안 아소산 중앙 분화구가 분화해 많은 사람을 놀라게 만들었지요.19일 일본 교토대학교의 지진연구소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분화구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가 아소산 아래 마그마방의 화산가스나 수증기를 자극했다고 분석했답니다. 지진의 흔들림이 마그마방을 직접 흔든 것은 아니지만,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투오마스 탈리넨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프랑스 티몬대학병원 나딘 지라르 신경방사선학과장 연구팀은 뇌와 특성이 비슷한 뇌 모형을 만들어 주름이 생기는 과정을 재현했다(DOI: 10.1038/NPHYS3632).우선 주름이 생기지 않은 태아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다음, 3D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중심엔 태평양해양과학기지가 있다8박9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연구단원 중 유일한 대학생인 백종원 씨는 “현지에서만 볼 수 있는 해양 생물의 사진을 많이 찍었다”며 “이 사진들을 모아 해양 생물 도감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조혜린 학생은 “오기 전까지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