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관측했다. 그 결과 타우 세티를 중심으로 14~640일 만에 한 바퀴씩 공전하는 행성 5개를
발견
했다. 공전 거리는 모두 태양과 화성 거리 이내였다. 이 중에는 생명이 살기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 즉 ‘골디락스 영역’에 위치한 행성도 하나 있었다. 이 행성은 1년이 16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 애벌레의 신경세포에 달려 있는 수상돌기 끝에 다량 붙어 있는 단백질 NOMPC를
발견
했다. 애벌레의 수상돌기에서 NOMPC를 떼어내고 자극을 줬더니 애벌레는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NOMPC를 이식하고 자극을 주자 인지하는 반응을 보였다.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부드러운 촉각을 지각하는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UFO무리를 카메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12분가량 촬영한 영상을 보면 첫 발광체를
발견
하고서 추적촬영을 했는데 2분이 지날 때쯤 한 대의 물체가 단독으로 교보빌딩 위쪽으로 2분 7초 가량 빠르게 수평비행을 하다가 상승비행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바로 이어서 화각 안에 여러 대의 발광물체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마리가 연신 나무를 쪼아대고 있었다. 주로 농경지 주변의 나무나 촌락의 숲, 마을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오색딱따구리는 가까이 접근하는 외지인을 본 체 만 체 열심히 나무를 쪼아대고 있었다.“그것 참 희한한 일이네요. 가끔 볼 수는 있지만 보통 행운이 아니고서는 처음 마을을 방문하는 사람이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제 신경세포를 조사하다가 수상돌기 끝에 이 단백질이 가득 달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한 거죠. 단백질을 떼어낸 제 친구는 아무리 문질러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단백질을 그대로 둔 저는 문지르는 감각에 바로 반응을 보였답니다. 즉 NOMPC가 부드러운 촉각을 느끼는 필수 물질이라는 사실을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연구했다. 그 결과 평면에서 같은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회전했을 때 그려지는 곡선을
발견
했다. 이것을 아르키메데스의 나선이라고 한다.뱀의 걸음걸이는 사인곡선!뱀은 긴 몸을 꿈틀거리며 옆으로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이런 특이한 뱀의 걸음걸이는 일찍이 과학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숨어 있는 수학적 성질을 찾아보자. 퍼즐을 푸는 재미와 함께 수학자들만이 느낄 수 있는
발견
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실험1 별 모양 오더리 탱글스의 수학적 성질➊ 바깥쪽 삼각형의 변의 중점은 안쪽 삼각형의 꼭짓점과 반드시 만난다.➋ 이 도형은 60°와 120°로만 이루어져 있다.➌ 어느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눈부시게 떠오르는 2013년 새해의 첫 태양보다 훨씬 밝은 ‘미니 태양’이 반도체 위에 떠올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주혁 교수를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빛을 ... 높일 수 있답니다. 또 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춰서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
을 해낼 수도 있지요 ... ...
화성에 사는 생명체에 한 걸음 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이 토양 샘플에서 예상보다 많은 물 분자와 황, 염소 유기화합물, 탄소 유기물질 등을
발견
했지요. 탄소 유기물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화성에 유기 생명체가 존재했거나 현재 존재할 가능성이 예전보다 높아졌다고 밝혔어요. NASA 과학자들은 앞으로 화성 ... ...
2800년 동안 갇혀 산 미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이 호수 얼음을 분석한 결과 놀랍게도 다양한 미생물 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어요. 연구팀은 호수 바닥에 쌓인 유기물들과 물 사이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미생물들이 자라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생겼다고 추측했어요. 또 미생물의 대사가 무척 느려서 앞으로도 수천 년 동안 호수 생태계가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