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벌도~ 사람도~ 벌벌 떠는 포식자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말벌들이 살고 있답니다.너희가 나타나면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하지?집에서 우리를
발견
하면 일단 말벌집이 어디 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건물의 틈새나 구석을 조심스럽게 살펴 말벌집을 찾으면 119에 신고하세요. 왜냐하면 섣불리 살충제를 뿌리거나 벌집을 건드리면 우리가 더 무섭게 공격할 ... ...
독주머니 업고 다니는 ‘자폭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남아메리카에서 과학자들이 적을 만나면 자신을 폭발해 독을뿜어대는 흰개미를
발견
했어요.체코 과학아카데미의 로버트 하누스 박사팀은 프랑스령인 기아나에서 특정한 ... 거죠. 연구팀은 이 흰개미와 같은 속에 속한 개미가 5~6종이 있지만 이런 성질은 처음
발견
되었다고 설명했어요 ...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편집부에서 지령이 왔어. “물의 행성을 취재하시오?”물의 행성? 무슨 말이지? 우주에서
발견
된 새로운 행성인가? 으~. 어렵다, 어려워~!맞다! 우리가 사는 제주도에 새로 생긴 아쿠아리움 이름이 ‘아쿠아플라넷’이야. 이 곳이 물의 행성은 아닐까?아하~. 그렇구나! 그럼 이러고 있을 게 아니지.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시속 900㎞로 달리는 비행기로 1100년을 달려야 겨우 한 바퀴를 돌 수 있어. 그런데 사람이
발견
하지 못했을 뿐 우주에는 이 별보다 더 큰 별이 있을 거래 반짝반짝 STEP ❷천체 만들기 체험학습 3종 세트보기만 하는 건 재미없어요. 직접 뭔가를 만들어 보고 싶은데….그래서 준비했죠. 야광 별자리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정광산의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약 4000종의 식물을 선택했어요. 그리고 정광산에서
발견
된 반딧불이의 서식지를 보존하고, 새로 심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하는 작업을 했지요.반딧불이에게 꼭 맞는 환경 만들기반딧불이는 주로 깨끗한 물에 사는 다슬기를 먹는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지금까지 수원청개구리가 산다고 알려진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수원청개구리를
발견
한 거야. 대단하지! 왜 수원청개구리는 멸종위기종 1급일까?개구리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멸종이 잘 되는 종이야. 쉽게 사라질 수 있다는 거지. 물과 육지 양쪽을 이용하는데 한쪽의 서식지만 사라져도 살기 ... ...
우리나라에 살았던 네 발 초식공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종으로 인정받았어요. 이 공룡의 이름은 카르이르이크늄 경수키미예요. 남해안에서
발견
한 공룡 화석을 연구하는 진주교육대 김경수 교수의 이름을 딴 거래요.국립문화재연구소의 임종덕 박사는 “네 발로 걸었던 공룡의 발자국 화석은 아시아에서도 중국에 이어 두 번째”라고 밝혔답니다. 이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코로나 셀은 SDO와 스테레오A, 스테레오B가 모두 합작해 이뤄낸
발견
이다. 연구팀은 태양이 자전하는 동안 코로나 셀을 관측해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그리고 SDO의 태양지진 및 자기장 영상장치로 셀 안의 자기장을 관측했다.태양도 3D로 본다이처럼 요즘에는 3차원 영상으로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먼 천체를 새로 자세히 포착하는 일은 고도의 기술과 끈기를 필요로 한다”며 “새
발견
을 천체사진으로 기록한 대단한 성취”라고 평했다.원제 과일을 든 코끼리 코 | 로랑 페니에스 | 헝가리하얀 천사의 날개날개를 펼친 천사의 형상이 떠오른다. ‘젊은 천체사진가’ 부문 당선작. 작가는 15살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하더라도 유전에서 채굴할 수 있는 양은 매장되어 있는 원유량의 50%도 채 안됐다. 유전을
발견
해도 빨대로 음료를 빨아 마시듯 바닥까지 뽑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석유는 지하에 있는 지층 사이에 고압상태로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가 생기면 통로 쪽으로 흘러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