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과학동아 l2002년 08호
- 힘들다. 그래서 기상학자들이 시작한 나이테 연구는 연대추정의 수단으로 고고학자와 임학자에 의해 ‘연륜연대학’(dendrochronology)이라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전했다. 나이테 최고 기록은 4천8백44개나무를 가로로 잘라 단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가운데 배꼽이 있고 동심원의 테가 안에서 밖으로 퍼져 ... ...
- 카펫서 몸무게 재면 10% 더 나가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이상한 효과가 저울의 내부 구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영국 캠브리지대 물리학자 데이비드 맥카이 박사는 카펫 위에 눈금 저울을 놓으면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는 얘기가 사실인지 알기 위해 그의 학생인 존 펜더가스트와 함께 여러 종류의 바닥에 저울을 놓고 몸무게를 측정했다. 그 ...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아마겟돈을 주의 깊게 살펴보자. 첫번째,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소행성을 발견한 시각은 한밤중이었으며 망원경은 높은 각도로 하늘을 향해있다. 이는 소행성의 방향이 태양 반대편이라는 뜻이다. 두번째, 브루스 윌리스가 소행성을 폭파시키는 마지막 장면을 보면 ...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과학동아 l2002년 08호
- 행성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행성의 대기성분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과학자들은 지구형 행성에서 물, 이산화탄소, 오존, 메탄 등의 성분을 찾을 것이다. 이같은 성분을 지닌 행성이 발견된다면 외계생명체를 찾으려는 인류의 꿈은 거의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물론 이 발견으로 ... ...
- 다윈의 진화론 반박하는 새 이론과학동아 l2002년 07호
- 기원은 하나의 원시세포가 아니라 느슨한 구조를 가진 세개의 원시세포라는 것.미생물학자인 위즈 박사는 수년간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인 ‘고세균’(Archaea)을 원핵세포, 진핵세포와 비교·연구한 결과를 이번 논문으로 발표했다. 위즈 박사는 1970년대 말 고세균의 정체를 밝힌 바 있다 ...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작동 방식과 계산 과정이 복잡한 거대 프로그램을 슬림화시킬수 있다는 말이다.진화 생물학자인 토마스 레이가 개발한 ‘티에라’는 웹상에서 인공생명의 가능성을 보여준 예다. 티에라는 시뮬레이터로 일종의 디지털 생물체다. 티에라 안에는 단순히 자신을 복제하는 80바이트 크기의 프로그램이 ...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해조류의 생태를 밝혀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영향을 규명할 예정이다. 나아가 분자생물학자들이남극 해양생물의 발생과정, 그리고 남극 먹이망의 기본이 되는 식물플랑크톤과 크릴의지리분포와 생태를 밝히려고 한다.그러나 우리의 활동지역은 주로 기지를 중심으로 한 남빙양과 남쉐틀랜드군도의 ...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할 수 있다.앞서 소개된 2권의 책이 과학자와 과학저술가에 의해 쓰여진데 비해, 역사학자들이 질병, 환자와 병원, 그리고 의학사에 대해 쓴 책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1부 ‘인류의 역사를 바꾼 질병’은 인간 역사에서 굵직한 획을 그었던 질병에 대한 내용이다. 전쟁보다 더 참혹한 전염병과 ...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시대를 이끌 학문으로 암, 치매와 같은 불치병 정복에 가장 유용한 도구다. 구조생물학자들의 땀방울에 의해 모든 질병이 정복되는 인류의 미래를 기대해보자 ...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봐야한다. 역사적 배경이 무엇이고 일본과 백제의 교류 목적이 어디에 있었는지는 역사학자들이 밝혀야 할 몫이다. 무령왕의 관이 일본에서만 나는 금송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움직일 수 없는 과학적 증거이니, 이 사실을 바탕으로 한·일 간의 관계를 재조명해야 할 것이다.현재 국립공주박물관 ... ...
이전4304314324334344354364374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