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과연 그럴까.올해 ‘엘스비어 사이언스’ 2월호에는 영국 워릭대의 천체물리
학자
존 그린호크 박사팀이 1백69개 국가의 국내축구경기 점수를 분석한 결과가 실렸다. 재미있는 사실은 영국의 경기와 전세계의 경기가 서로 다른 점수분포를 한다는 점이었다. 먼저 1970-1971년 시즌과 2000-2001년 시즌에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수중 이동법이다. 아마도 이 방식으로 매우 쉽게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학자
들은 단지 뒷발보다 앞발이 갯벌 속으로 깊게 들어가면서 생긴 발자국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 ...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일어나기도 전에 결과가 먼저 반대편 문을 열고 나온 셈이다.이 연구가 발표된 뒤 물리
학자
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 이 결과가 상대성원리와 인과율에 어긋나는 현상이 아니라는 설명을 내놓았다. 이때 펄스가 진공에서보다 빠른 까닭은 펄스를 구성하는 사인파들이 물질을 통과하는 동안 위상에 ... ...
위대한 과
학자
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외치고 있을지 모른다. 다른 한편에서 아인슈타인은 스스로를 변명할지 모르겠다. 과
학자
란 도덕적 인간성을 갖춘 성인이 아니라 단지 과학 분야에서 다른 사람 보다 조금 더 정진한 사람일뿐이라고 ... ...
소행성 2880년 지구와 부딪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3백분의 1. 소행성 1950DA는 미국 캘리포니아 릭천문대의 천문
학자
들에 의해 1950년 2월 23일에 처음 발견됐고, 17일 동안 관측된 후 시야에서 사라졌다. 이후 2000년 12월 31일 미국 로웰천문대 지구접근천체탐색(LONEOS) 프로그램이 다시 찾았고, 아레시보와 골드스톤 전파망원경의 ... ...
최초 복제 광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물리
학자
가 한개의 광자(photon)를 거의 완벽하게 복제하는데 처음으로 성공, 양자 컴퓨터의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양자역학에 따르면 양자 시스템은 완벽하게 복제할 수 없다. 그러나 양자 컴퓨터의 발전은 얼마나 잘 복제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어, 양자컴퓨터의 실현을 가로막고 있었다. 컴퓨팅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양자상태를 빛을 정지시켰을 때의 원자와 빛의 상호작용으로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물리
학자
는 생각한다. 그리고 빛을 정지시킨 공간에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없다. 앞으로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7년 간 그의 곁을 떠났으며, 그에겐 행복한 날보다 불행한 날들이 더 많았다. 만약 심리
학자
인 숀 교수를 만나지 못했다면 윌은 여자친구 스카일라를 떠나보낸 후 마음 속에 또 하나의 상처를 남겼을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숀 교수의 질문 속에 있다. 평범한 사람이건 천재이건 그 대답은 같다.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원동력?인류가 현재와 같이 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자연방사선을 꼽는 과
학자
가 적지 않다. 자연방사선은 체내 DNA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돌연변이가 가능해진다.하지만 DNA의 돌연변이는 반드시 나쁜 영향만을 끼치지 않는다. 돌연변이의 결과에 따라서는 환경에 좀더 유리한 ... ...
유전자가 운동선수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럼에도 유전자로 인해 선수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믿는
학자
들은 하나도 없다. 그만큼 후천적인 환경이 중요하다.예를 들어보자. 사람마다 지방의 함유량이 다르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지방의 분포는 어떨까. 선수들은 지방이 어디에 분포하는가가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