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모르기 때문이다.오랑우탄에게 언어를 가르치거나 돌고래와의 대화를 연구하는 동물
학자
들이 있다. 청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수화가 오랑우탄과의 대화에 사용되며, 휘파람 소리 같은 음향과 그림이 돌고래와의 대화에 사용된다고 한다.물론 그들과 대화가 이뤄진다 해도 수준 높은 대화는 불가능할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식었기 때문에 현재 약 3K여야 한다.우주배경복사는 이 문제에 관심도 없었던 공
학자
들이 최초로 발견했다. 주인공은 1965년 미국의 벨연구소에서 근무하던 펜지아스와 윌슨이었다. 이들은 원래 정밀한 전파망원경을 사용해 전하늘을 관측하며 통신위성과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전파신호를 측정하려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아인슈타인을 비롯해 우리가 기억하는 위대한 과
학자
들의 이름과 나란히 우리나라 과
학자
의 이름을 떠올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그러기 위해서는 과학사를 다룬 책이 더 다양해지고, 또 좀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어야 할 것 같다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하 2백m인 미국 옐로스톤의 리디 온천. 햇빛, 산소, 탄소도 없는 환경에 물의 온도는 58℃. 이런 곳에 과연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 미국지질조사회의 프랭크 채플 박사팀은 ...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는 과거나 현재에 이같은 미생물이 살았거나 살지 모른다고 과
학자
들은 기대하고 있다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부단한 발굴 성과나 진일보한 고증과 논문의 힘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런 인문
학자
들의 적극적인 노력에 컴퓨터 영상관련 디지털 엔지니어나 그래픽 아티스트에 의한 효과적인 미디어 운용이 겸비될 때 비로소 완벽한 고대 문화의 재현이 이뤄질 수 있다.인류가 보존해야 할 귀중한 문화유산인 ... ...
글 잘 쓰는 과
학자
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호킹, 가이아 학설을 주창한 제임스 러브록과 린 마굴리스, 마음을 파헤치는 이론 물리
학자
로저 펜로즈 등은 전문 작가 뺨치게 글을 써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오른 인물들이다.우리나라도 작문교육 강화될 전망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가 현재 고교 2년생이 대학입시를 치르는 2003학년도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보여주는 좋은 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고, 천문
학자
를 비롯해 과
학자
들의 참여를 유도했던 미국의 문화를 읽어보자. 세티가 지루하고도 지난한 탐색과정을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했던 이면에서 보통 사람들은 UFO라는 실체 없는 존재에 대한 기대를 품었던 것이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다. 이런 사실로 볼 때 세한도에 나타난 집은 중국풍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일부
학자
는 세한도 가옥의 중국풍을 지적하면서 추사를 사대주의자로 몰아 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중국의 집은 주요 구조부를 나무 골격으로 짰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집과 같지만, 양측벽과 후면벽을 ... ...
중력의 양자효과 처음 관측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것이다.이번 연구결과는 많은 물리
학자
의 주목을 받았다. 미국립연구소의 입자물리
학자
토마스 볼스는“중력의 효과가 매우 작은데도 실제로 측정할 수 있었다는데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때문에 레이저 냉동의 개선이 현재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오늘날 극저온 상태에서 과
학자
들은 무엇을 연구하는 것일까. 현재 극저온 기술은 많은 물리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물질의 근본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응집물리 분야에서 보편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