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생김새까지 요리가 인류에게 미친 영향이 엄청나구나!놀라긴 일러~. 요리가 바꾼 건 단지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니거든. 유전자도 바꿔놨다구. 자,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쥐 통신원들이 보내온 뉴스를 보라구!쌀을 먹는 민족, 아밀라아제 유전자 개수 많아일본에 있는 ‘밥조아’ 통신원이무니다.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얻은 것이다. 이 지도를 통해 인터넷 웹페이지가 어떤 웹페이지와 연결돼 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었다.결과는 매우 충격적이었다. 연구를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폴 에르되시와 알프레드 레니의 주장대로 네트워크는 무작위로 만들어진다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실험 결과 인터넷이나 SNS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가장 많이 팔렸으며, 눈높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에 있으면 덜 팔렸다. 그래서 가게에선 눈높이에 가장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는 상품을 둔다.이런 쇼핑몰에 적용된 과학도 점차 변하고 있다. 쇼핑몰에 바깥이 시원하게 보이는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놀이공간과 식당을 적절히 배치하는 식이다. ...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움직여주기만 하면 되니까요. 눈썹 양쪽 각각 5°, 입꼬리는 12° 치켜 올라가면 웃는 얼굴. 눈꼬리가 30° 이상 크게 치켜 올라가고 입을 크게 벌리면 화난 얼굴 등으로 지정하는 식입니다. 마음 먹는다면 리모콘으로 1번을 누르면 웃고, 2번을 누르면 화내는 표정을 짓도록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한 발 ...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틀리거나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꼭 다시 써보고 이해하고 기억하자. 포스트잇에 적어서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 두고 자주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동아리는 뭘 하고 있어?” “우주소년단이요.” “그래. 꿈과 잘 연결할 수 있는 동아리구나. 열심히 활동해. 봉사활동도 열심히 해야 해. 시간이 ... ...
-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넓적한 모양의 망치로 셰일을 쪼갠 다음 그 단면을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화석의 모양이 눈에 들어왔다.③ 발견한 화석은 총 50여 점으로, 장구벌레, 패갑류, 식물, 딱정벌레, 바퀴벌레 등 종류가 다양했다.④ 화석의 종류를 보아 이 곳이 과거에 호숫가였음을 알 수 있었다.실제 발견한 ... ...
- Part 3. 정사각형 정보 상자, QR코드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들어간 코드도 있다.‘스마트 태그’라 부르는 이 코드는 바코드나 QR코드에 비하면 훨씬 눈을 사로잡기에 좋다. 가로와 세로에 색깔까지 덧입혀 3차원코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제작사인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만 만들고 읽을 수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무엇을 뜰 것인가 생각하고 조사한 뒤, 작품을 떠 가는 과정에서 눈과 손을 동시에 이용하는 능력과 소근육의 운동 능력이 길러진다. 또한 뜨개질 기호를 인식하고 바늘이 들어가는 위치,실을 돌리는 방향 등을 이해하고 실행함으로써 공간 지각력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 ...
- 파리도 예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가진 내가 일등인 게 당연해! 예쁜 벌을 닮았다!안녕? 난 ‘멜론파리’라고 해. 빛나는 눈과, 노랑과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몸이 정말 귀엽지? 뭐? 벌처럼 생겼다고? 맞아, 난 벌처럼 생겼어. 난 그냥 예뻐 보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침을 쏘는 벌처럼 보여서 다른 동물들이 날 쉽게 잡아먹지 못하게 ... ...
- Part 2. 길+개리=원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쌍둥이도 가려낼 수 있을까?얼굴인식 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사람의 눈으로도 쉽게 구분하기 힘든 쌍둥이도 구별할 수 있을까? 일란성 쌍둥이라 하더라도 3D 얼굴인식으로는 구별이 가능하다. 아무리 비슷한 얼굴이더라도 피부의 미세한 주름과 같이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 ...
이전4324334344354364374384394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