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실제로 계산을 해 보면 미인도 속에도 황금비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➊ 얼굴 속 황금비
눈
-입 거리 = 1.6입-턱 거리 = 1➋ 배치의 황금비왼쪽 그림 끝-얼굴 거리 = 1얼굴-오른쪽 그림 끝 거리 = 1.67➌ 상반신의 황금비타래머리-어깨 거리 = 1.6어깨-치마 위 = 1➍ 치마의 황금비치마 최대 길이 = 1.68치마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실험의 오차는 10ns 미만이었고, 이를 거리로 환산하면 732km에서 20cm 정도의 오차다. 60ns는
눈
깜짝할 새보다 훨씬 짧은 시간이었지만 세계의 물리학자들이 깜짝 놀라기에는 충분히 긴 시간이었다.오페라 실험은 원래 빛보다 빠른 입자를 측정하려던 것이 아니었다. 당초 목적은 뮤온 중성미자가 타우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빨간색 원으로 나타낸 부분이 암종양이다. ➌ JX-594를 주사하자 암종양의 크기가
눈
에 띄게 줄어들었다. ➍ CT촬영으로도 암종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➎ 간에 생긴 암종양 (왼쪽)에 JX-594와 간암치료제인 소라페닙을 주사하자 9달 후 암종양이 괴사했다(오른쪽). ➏ 같은 환자의 전신을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받지 못해 새벽 4시에 사무실에서 연구계획서를 쓰며 이번에도 떨어지면 어떡하나 싶어
눈
물을 흘렸다고 털어놨다. 지금은 50억 원이 넘는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하는 일이 너무 즐겁고 신나요. 취미라고 생각하니까 밤낮 열심히 해도 지루하지 않죠. 월급 받지 않아도 상관없어요. 이거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싶었던 걸까. 맥스는 처음부터 끝까지 아톰을 애지중지하며 마치 친구처럼 대화를 나
눈
다. 그 모습을 비웃던 찰리도 나중에는 자기도 모르게 아톰에게 말을 건다. 아무리 기술적으로 뛰어난 로봇이 등장해 권투를 하고 화려한 조명을 받는 시대가 와도 결국 인간성의 본질에는 변화가 없다는 소리다.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인지도 모르겠어요.‘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는 여러 독주악기가 등장하는데, 그 중
눈
에 띄는 악기는 플루트와 함께 유일한 목관악기인 오보에입니다. 사실 오보에는 역사가 꽤 래된 악기예요. 제가 태어나던 17세기 중반에 이미 오케스트라에 쓰이고 있었으니까요. 특히 저와 낼 수 있는 음의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울려도 소리가 들리지 않아 큰 사고를 당할 수 있다”며 “이 경보기가 작동하면
눈
과 코가 너무 매워 아무리 깊은 잠에 빠져 있는 사람이라도 깨어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들이 개발한 경보기는 단순히 매운 향을 내뿜는 데에 그치지 않는다. 연구팀은 공기중에 퍼지기에 가장 적합한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궁전을 상징하는 것은? 정성스럽게 다듬은 정원이다. 높은 곳에 올라 전체를 한
눈
에 조망할 수 있다. 좌우 대칭인 기하학적 구도로 세계 곳곳의 정원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곳은 종려나무와 밀감나무를 온실로 옮겨 겨울을 나게 할 만큼 지극정성으로 식물을 가꾼다.▲품격 있는 역사 도시 |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난 잎이 나무가 죽을 때까지 붙어 있는 건 아니다. 다만 잎의 일부만 떨어지기 때문에
눈
치채지 못할 뿐이다. 한편 낙엽수는 말 그대로 가을이 깊어지는 시기 불과 몇 주 사이에 모든 잎을 떨어뜨리는 대변화를 일으킨다. 그렇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잎이 지는 것일까. 한여름 태풍이 와 뿌리째 뽑힌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바람직한 자세는 아니지요.”올해 60세가 된 칸 교수는 최근 다시 한번 ‘옆길’로
눈
을 돌리고 있다. 언어와 뇌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다. 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언어의 기원을 밝히겠다는 생각이다.“인간의 뇌는 진화 과정에서 두 번의 팽창을 겪었습니다. 여기에 영향을 미친 것이 언어입니다.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