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만 있으면 나도 천하장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같다고?!지레대와 움직도르레, 빗면, 축바퀴는 모두 물체를 들어 올리는 힘의 세기를
줄
여 주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할 때나 사용하지 않을 때나 해야 하는 일의 양은 같답니다.‘에? 그럼 왜 도구를 사용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생각해 보세요. 100㎏의 ... ...
전기 회로 꾸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하늘이와 샤를롯트는 과연 마지막 문을 열고 승급 시험을 통과했을까요? 그건 아직 모른답니다. 왜냐하면 어린이 여러분들이 과학교과서 뛰어넘기 플러스를 보 ... 선물을 할 거라고 하는데…. 앞으로‘과학교과서 뛰어넘기’를 더 주목해 보자. 언제 선물을
줄
지 모르니까 말이다〜.(^-^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그때 너는 뭘 보고 있었던 걸까? 교실 맨 뒷자리의 장식 없는 나무 의자에 앉아 너는 창밖을 바라보고 있었어. 나는 그러는 너를 바라보고 있었지. 내가 너무 너를 빤히 쳐다봤던 걸까? 어느 ... 게 좋겠지? 방금 허공에 대고 연습도 해 봤어.손을 내밀면, 네가 반갑게 내 손을 잡아
줄
테야 ... ...
비행기는 구름 만드는 기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그대로 얼어 버립니다. 결국 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비행기가 뿜어 내는 하얀
줄
이 매연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은 이제 편견을 버려야겠지요? 이제 비행기가 날아갈 때는 과학의 원리를 한 번 더 생각해 보자고요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안경에 곱슬머리, 주근깨…,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친숙한 모습…. 이럴 수가! 설인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황당맨인 거야!석빙고에 취재를 갔다 잠이 들었는데 그만 얼음 속에 갇히게 됐다나 뭐라나~. 두툼한 털옷을 얼음 밖에서 보고 설인으로 착각했던 거지. 설인은 아니었지만 과학해결사 ... ...
부자가 되는 비결을 알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비결을 물어 보기로 한다. 하지만 소문난 부자들이 쉽사리 부자가 되는 방법을 가르쳐
줄
리는 없지.썰렁 홈즈가 비결을 알아 내기 위해서는 부자들이 내는 퀴즈를 풀어야 한다. 세계 유명 갑부들의 돈 버는 비결은 무엇일까?mission 1하루 아침에 부자 되기썰렁 홈즈가 처음 찾아간 부자는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돌려 주는 일은 어쩌면 우리가 잊고 있던 자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지도 모른다.문명의 발달과 함께한 색인류는 오래 전부터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색을 만들어 냈다. 신석기 시대이후, 옷을 물들이기 위해 광물을 이용했고 차츰 식물의 꽃이나 열매, 나무껍질까지 사용 범위가 ... ...
읽어버린 숲의 색깔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나무마다 서로 다른 나이테가 생긴다. 그루터기와 쓰러진 나무의 나이테를 잘 관찰하여
줄
을 이어 보자. 썰렁홈즈의 정답 다시 찾은 가을 숲썰렁 홈즈는 다시 아름다운 숲은 되찾았다. 아름다운 가을 단풍이 선선한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이런…. 그런데 이런 감상을 하는 동안 김석 작가님은 또 ... ...
애완동물을 갖고 싶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작은 사진)’라는 로봇 개도 있지요. 이런 애완동물로봇은진짜 애완동물처럼 먹이를
줄
필요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 말썽도 피우지 않습니다. 싫증이 나면 다른 모델로 바꿀 수도 있지요.세상에는 인간의 섣부른 욕심 때문에 고통을 받는 동물들이 너무나 많아요. 이런 애완동물로봇이 나옴으로써 ... ...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과학수사대’가 있다면 우리나라에는‘국립과학수사연구소’가 있습니다.
줄
인 말인 ‘국과수’로알려져 있는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과학수사를 대표하는 기관이지요. 국과수는 1909년 법무국에 설치된 지문계에서 출발하여 해방 후 1955년 정식으로 과학수사를 시작했고 현재 200여 명의 연구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