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식물의 잎이 이렇게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다니 정말 놀랍지요? 이제부터는 밥상에 올라오는 나물과 채소 반찬에게 감사 인사를 꼭 한번 하고 식사하 ... 보면 이해할 수 있다.•물 분자의 응집력 : 물 분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는데 물을
줄
기를 통해 잎까지 끌어올리는 가장 큰 힘이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우유팩을 이용했어. 솜을 이용한 것은 솜이 이불의 재료이므로 일정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고 예상했기 때문이지. 사실 솜은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를 낮게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구. 우유팩의바깥부분에는 고무찰흙을 붙여서 공간을 최대한 ... ...
암컷을 유혹하는 수컷쥐의 눈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쥐의 눈물에는 이성을 유혹하는 페로몬이 있다. 일본 도쿄대 가쯔시기 도우하라 박사는 “수컷쥐의 눈물에서 암컷을 유혹하는 페로몬을 발견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 ... “이번 연구가 사람이 왜 눈물을 흘리는지에 대한 오래 된 미스터리를 푸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분자량이 적은 화합물(c=c)만이 부산물로 생긴다. 또 이 반응의 촉매는 반응시간을
줄
여
줄
뿐 아니라 계속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새롭게 도입된 촉매의 작용으로 새로운 물성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환경친화적으로 대량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자리교환 반응은 이미 암,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막 모서리에 매달고 당기자 산과 강이 갑자기 천장 덮개로, 다시 텐트로 변신한다.비밀은
줄
에 있었다. 공기를 빨아들이는 에어 호스를 사용한 것. 이 감독은 “공기 압축기의 흡입력을 이용해 에어 호스 끝의 노즐에 천을 붙여 움직이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01. 본무대는 실제로 공연이 벌어지는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었다. 유학길에 가 있던 언니가 훌륭한 모범이 된 것처럼, 미래를 전망하고 조언해
줄
수 있는 선배가 있다면 뒤를 밟는 후배들에게는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었다.뉴턴이 노년에 자신의 업적을 평가하면서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탔기 때문”에 쌓은 성과라며 겸손해했지 않았던가. 선배의 한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물리학자인 호킹 박사의 말을 인용해본다. “인공뇌가 사람의 지능에 반하기보다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우리는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최대한 빨리 개발해야 한다 ... ...
줄
기세포의
줄
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첫 월급을 탔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은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사고 남은 돈을 일단 은행에 맡긴다. 은행은 고객의 돈을 대신 안전하 ... 강조했다. 세계
줄
기세포허브가 미국과 영국에 곧 개설하겠다고 한 허브는 이들 기존
줄
기세포은행과는 무관하다 ... ...
줄
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해 톰슨은 우연히 신혼여행 중인
줄
을 만나 친분을 쌓았고, 이후 처음의 태도를 바꿔
줄
의 이론을 받아들였다. 한편 카르노의 이론에도 깊은 매력을 느낀 톰슨은 두 이론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열역학 제2법칙을 이끌어냈다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초등학교 5학년 때 월식을 보려고 집 밖으로 나왔어요. 그때만 해도 월식이 금방 끝나는
줄
알았죠. 겨울이었는데 1시간이나 보다가 하도 추워 집에 들어가 몸을 녹이고 다시 나왔는데도 여전히 계속되더군요.”별이 좋아 천문학과에 갔지만 망원경으로 별을 본 것은 대학에 들어가서 처음이었다고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