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안 싸우면 못 사는 나라, 싸울랜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된다.각
줄
의 구두를 파랑 유리구두로 바꾸어 보면 파란 유리구두 10켤레와 같다. 네 번째
줄
의 구두를 파란 유리구두로 바꾸어 보면 파란 유리구두 8켤레가 나온다. 결국 파란 유리구두 두 개에 해당하는 빨간색 유리구두가 없어진 것이다.싸울랜드는 싫어~!문제를 모두 해결한 썰렁 홈즈. 드디어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줄
일 수 있답니다.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도르래의 수가 늘어날수록 들어가는 힘은
줄
어듭니다.1796년 조선 시대의 유명한 학자 정약용은 이 복합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서 수원성을 쌓을 때 큰 역할을 했던 거중기를 만들었답니다. 그 거중기를 이용하여 무거운 돌을 효과적으로 쌓은 덕분에 20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이러한 연구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분자의 세계를 활짝 열어 자연 현상을더 잘 이해하게 해
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나노 로봇이나 특수약물, 연료의 저장 장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거라고 교수님은 말씀하세요.교수님은 아이들을 너무 좋아해서 대학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장면에 만족하련다. TOP SECRET 4 : 하늘을 나는 불꽃다른 이들은 자신의 초능력에 어쩔
줄
몰르지만 이 남자, ‘파이어’는 다르다. 가는 곳에는 언제나 미녀가 가득하고 스키면 스키, 오토바이 곡예면 곡예,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느라 바쁘다.불꽃을 내뿜는 기술이야 화염방사기를 쓰면 지금도 ... ...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보내고 가운데 뜨거운 핵을 드러낸 것이다.자기 모습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죽어가는
줄
몰랐던 나르키소스처럼 AB7은 주변으로 ‘자기 표현’을 너무 강하게 하다가 그만 속살을 내보이고 만 셈이다. 물론 수명도 단축됐다.여름도 다 지났는데 무슨 더위타령이냐고 생각할지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 ...
2. 과학이 해부한 댄싱퀸의 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적합한 동작이다.또한 각각의 동작들은 주로 워킹으로 연결돼 근력과 지구력을 발달시켜
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빠른 워킹은 리듬감을 유지하므로 심폐기능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아르헨티나 팔바로로연구소 과학자들은 남녀 댄서 2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심장이 탱고리듬과 같은 2/4박자로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입고 춤을 배우는 재킷도 개발되고 있다. 국립 싱가포르대 혼성현실연구실은 춤을 가르쳐
줄
수 있는 햅틱스 재킷을 개발했다. 일명 ‘터치인터넷’. 인터넷을 통해 사람의 촉감이나 느낌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이 재킷을 입고 움직이면 동작 정보가 무선으로 상대편 재킷에 전송된다. 수신된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나루에서 새로운 세기를 여행하고 돌아온 ‘복제개 스너피의 모험’을 우리에게 들려
줄
젊은 소설가를 기대해본다.과학만능시대 비판한 발칙한 상상서양 현대 소설 속에서 과학은 어떻게 그려지고 있을까. 현대 과학과 기술 발전을 일찍 경험한 서양 소설에는 무조건적인 비판론에서 긍정론까지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 있는 것이지요.”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내는 것은 생명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해
줄
것입니다. 이런 연구의 선두에 단장님이 서 있답니다. 국가가 지원하는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이끄는 단장으로 말이죠.30여 명의 연구책임자들과 함께 수많은 프로젝트를 해 내며,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병에 걸리는 확률이 높다는 말이 나오면서 복제동물을 가축으로 쓰려는 연구는 점점
줄
어들었다.다음으로 눈을 돌린 것이 애완동물이었다. 토끼와 열대어가 대표적이다. 이번에 복제된 개는 의학과 애완동물, 멸종동물 복원에 쓰일 전망이다.•1996년 : 세계 최초의 복제양 돌리. 조로 논란을 낳으며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