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유망한 분야로 생명과학을 추천했으며, 학교 이름보다는 학과의 유망성에 초점을 맞춰
줄
것을 당부했다.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 현존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를 들어 황우석 신드롬이 과학기술계에도 몰아치고 있음을 실감하게 했다.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과학책으로 ... ...
"떨어지는 속도를
줄
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펼쳐져 공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었지.아무튼 시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떨어지는 속도를
줄
인 덕분에 모든 프루프 모형들은 땅에 떨어진 이후에도 처음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어. 아마 그냥 곧바로 땅에 떨어졌다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찌그러졌을 지도 몰라.과학해결사들이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세제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심해에서 보낸 5시간 동안 김 박사는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한다. 잠수정이 좁아 탐사 내내 요가하는 자세로 있어야 했다. 다리에 쥐가 두번씩이나 났지만 눈앞에 펼쳐지는 심해의 신비가 고통을 없애는 진통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는 잠수하는 10시간 동안 ... ...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220, 110kV로 상대적으로 낮다. 남한의 전기를 북한에 보내려면 중간에 전압을 낮춰
줄
변압시설을 세워야 한다.송전 방식도 새로 정해야 한다. 먼 곳까지 싼 값에 전기를 보내기 위해 송전전압은 보통 교류를 사용한다. 하지만 북한의 불안정한 전력사정을 감안하면 교류 송전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타났다 사라지는 혜성의‘보물창고’가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
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미션 투 스페이스 Ⅰ.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디스커버리다. 7년 뒤 이제 디스커버리 차례가 됐다. 디스커버리가 노장의 저력을 보여
줄
날이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키를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높고 신속한 작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바닷가재 로봇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가재 로봇은 로봇 물고기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고 작동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바닥을 탐사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다.넙치처럼 몸이 납작한 로봇 물고기도 있다. 이런 모양의 로봇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성향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새로운 것에는 우리에게 더 많은 보상을
줄
가능성과 위험을
줄
가능성이 모두 내재돼 있다. 따라서 우리 뇌에 두 가지 정서적 반응, 즉 호기심과 두려움을 함께 유발하게 된다. 결국 이 두 가지 성향의 비율에 따라 사람의 성격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편도체는 단순히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그 중에서 배우고 이겨내야 할 공포와 과장되거나 불필요한 공포를 현명하게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공포도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공포의 추억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4. 공포는 바로 이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두 사진은 마치 한 사람의 얼굴을 보는 듯해 누리꾼들로부터 ‘진짜 소지섭인
줄
알았다’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조 교수는 두 경우 모두 닮은 요인으로 눈을 꼽았다. 에릭과 민영익의 경우에는 눈과 눈 사이가 넓다는 점이 비슷하다. 소지섭과 이황은 눈동자에서부터 눈꼬리까지 거리가 길다는 ... ...
이전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