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합치면 7대가 된다.올해 가을쯤 일본과 공동으로 우주전파관측에 나설 계획이다. 서울과 일본 네 곳의 전파망원경으로 우리은하 중심부, 밝은 활동성 은하핵 등을 동시에 관측해 한일우주전파관측망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는 게 천문연의 목적이다. 내년에 KVN이 가동하고 그 뒤 한일 ...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조망한다. 간단히 말해 혈관 없이 신경 없고, 신경 없이 혈관 없다는 뜻.김 교수는 서울대 약대 부임 초기에 세포 안에서 A-KAP 12란 단백질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집중했다. 그는 이 단백질이 세포 안에서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만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세포 수준에서 벗어나 세포들 ...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집중됐다.지난 4월 1일 전북 김제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바이러스는 경기도 안성을 거쳐 서울 광진구로 진입했고 이는 송파구, 서초구 같은 인구밀집지역으로까지 퍼졌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걱정은 금물!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10문 10답을 통해 AI에 대한 막연한 공포를 떨쳐 버리자. 1 ...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지난 5월 3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창립 100주년기념 종합학술대회에서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유전체의학연구소)는 ‘깜짝 발표’를 했다.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개인의 게놈을 해독하고 있다는 것. 현재 해독률은 약 85%다. 서 교수가 한국인 게놈 해독에 뛰어든 이유는 뭘까. ‘30대 건강한 ...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새로운 축구영웅이 탄생했다. 박지성 선수가 속해 있는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선수 얘기다.현란한 발재간으로 유명한 호날두는 팀이 프리미어리그 10번째 우승을 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측면 공격수임에도 불구하고 리그 34경기를 뛰 ...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것.* 아기 매머드 디마와 다양한 거대 동물의 화석을 2008년 3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열리는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숨어도, 숨어도 다 보여!10000BC의 거대 동물은 땅 속에 숨어 있는 화석 말고 다른 것을 통해서도 연구할 수 있답니다. 그 중 첫 번째는 1000 ... ...
- “암, 꼼짝 마!”나노캡슐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작은 나노캡슐을 이용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까지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현택환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캡슐은 속이 비어 있어 안에 약물을 담아 암세포에 전달할 수 있어요. 게다가 나노캡슐의 껍질은 암세포를 찾아 내는 조영제로 쓰일 수 있어 암을 진단하고 ...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화재 사건일지2008년 2월 10일 오후8:45숭례문에서 연기가 새어 나오기 시작했다오후 8:50서울 중부소방서에 화재신고가 접수되었다.오후 8:53화재진압팀이 현장에 도착. 2층 내부로 진입해 천장에 집중적으로 물을 뿌려 불을 끄기 시작했다.오후 9:40겉불이 꺼지고 연기만 나는 상태가 되자 불길이 잡힌 ...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이거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광경이라구?에이~, 우리 솔직해지자구! 사실은 다들 한 번씩은 이런 경험들이 있잖아. 내가 더 열심히 공부한 것 같은데, 짝꿍이 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적 없어?‘하면 된다’라는 말은 그저 옛날부터 내려온 속담일 뿐이며, 오히려‘하면 된다’가 틀렸다는 걸 몸소 ... ...
- 10대들의 화학 축제 '화탐프'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마음먹었다. 일상에서 겪은 일을 연구주제로 삼은 창의성이 돋보인 경우다.황진연 군(현 서울대 재료공학부 1년)과 오영록 군(현 KAIST 1년)은 메조포러스라는 재료로 온도센서를 만들었다. 특히 이들은 지시약인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이용하면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센서를 만들 수 있을 ...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