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최초우주인이 ISS에서 머무는 4월 10일부터 19일까지 초저녁 북쪽하늘에서 ISS를 볼 수 있다.
서울
을 기준으로 가장 관측하기 좋은 때는 4월 13일이다. 이날은 ISS가 우리나라 상공을 바로 가로질러 간다. 저녁 7시 50분쯤 북서쪽 카시오페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 사이에서 2등급 밝기로 떠올라 5분 뒤 천정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달려가고 싶다는 욕망을 불끈 솟아오르게 만드는 초봄의 비타민 같은 책이다.박석재
서울
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에서 블랙홀 천체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대전시민천문대 건립을 제안하며 천문학의 대중화에 헌신했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를 창립했다. 현재 ... ...
사랑은 다채롭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에로스, 스토르게, 루두스, 아가페….세상엔 다양한 종류의 사랑이 흘러넘친다.이 사진은 크로마토그래피라는 독특한 발상으로 과학동아에 사랑을 ‘고백’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검은색 잉크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의 잉크가 혼합돼 있다. 따라서 검은색 잉크로 종이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만드는 일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바다(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색소폰 앙상블 활동을 하고 싶다는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때마침 프랑스에서 귀국해
서울
대 음대에서 색소폰을 가르치는 원무연 교수가 떠올랐다. 결국 20여 명은 원 교수의 지도를 받게 됐고 그 뒤 음색이 나날이 발전해 새로운 앙상블을 창단하기에 이르렀다.그러는 사이에 클라리넷까지 관심이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있다.정말로 신체능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이 억만장자라도 꿈을 못 꿀만큼 비싸다.
서울
대 공대 의공학과 이정찬 박사는 “미국형 심장의 1/10가격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인공심장도 수술비용까지 합하면 5000만 원 이상으로 비쌀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도 가격으로 전신을 수술하면 50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한 달에 두세 번씩 볼링게임을 즐기고 아름다운 포항 바다를 찾기도 한다.그는 “포항은
서울
과 멀리 떨어져있는 대신 깨끗한 산과 바다에 둘러싸여있어 그 어느 곳보다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단백질의 구석구석을 스케치하듯 그려내는 이들의 노력이 밑거름돼 훗날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2008년 1월 24일 오후. 오늘도 키스트에서 멋진 활약을 끝내고 우주선을 타고
서울
을 돌아보고 있어. 그런데, 어디선가 우렁찬 소리가 들리는 거야. "나는 과학과 만화를 사랑하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이다!"이게 무슨 소리지? 내가 궁금한 건 못 참는 성격이잖아? 지금 당장 가 봐야겠어!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무릎 위가 잘린 장애우는 무릎에 모터를 달고 그 아랫부분에 의족을 신어야 한다.
서울
대 의대 정선근 교수는 “다리를 잃은 소머즈가 빠른 속도도 달리려면 의족관절에 모터를 넣어 무릎 힘을 높였을 것”이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무릎에 모터가 들어 있는 초강력 관절인 ‘파워니’(PowerKnee)가 ... ...
도시의 목덜미에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치열했는데, 최종적으로 50점을 입상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작품들은 3월 24~29일
서울
경복궁 지하철역에 있는 메트로미술관에서 대중과 만났으며 기상청(www.kma.go.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대구 우방랜드에서 경산 방향으로 국지성호우가 내리는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