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날개를 펴는 모양으로 변신한다면 뜨려는 힘인 양력을 많이 받을 수 있어. 날기 위해서라면 로봇이 변신할 필요가 생길지 몰라. 나중에 변신로봇이 나온다면 아마도 날려고 변신하는 로봇일거야.안돼! 가장 쓸모없는 로봇실제로 자동차 모습에서 범블비 로봇으로 변하는 키 6.7m, 무게 4.5t의 모형 ...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뛰어남에 가장 감탄하는 부분이 바로 아궁이 위의 가마솥이야. 구들을 데우는 아궁이 위에 가마솥을 올려서 물을 끓였어. 여기서 나온 수증기가 온실 안으로 들어가게 만들어서 온실의 온도를 높이고, 습도까지 적당하게 조절했단다. 조상들이 지혜가 정말 놀라워~. 비밀 ➌ 한지 + 기름보통 ...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먼저 찾아 내 먹어야 한다. 백설공주의 집중력을 높이고, 빠른 눈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백설공주가 한 번에 체리를 찾아낼 확률은 1/3이다. 이 때 난쟁이는 백설공주가 고르지 않은 또 다른 컵을 뒤집어 ‘빈 컵’임을 보여 준다. 난쟁이는 컵을 바꿀 기회를 허락했지만, 백설공주는 바꾸지 않는다 ... ...
- 언터처블 : 5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불가촉 수다. 불가촉 수를 몇 개만 나열해 보자.2, 5, 52, 88, 96, 120, 124, 146, 162, 188 …위 숫자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숫자는 두 번째 불가촉 수인 5다. 왜냐 하면 나열된 불가촉 수 중 5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는 모두 짝수이기 때문이다. 혹시 5는 불가촉 수 중 유일한 홀수가 아닐까? 하지만 안타깝게도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미스테리다. 이것을 알아내는 유일한 방법은 GJ 1214b의 대기를 관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허블천체망원경을 사용했다. 너무 멀고 작아서 행성 자체를 직접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엔 항성에서 나오는 빛이 행성의 대기를 통과해 빛난다. 이 별빛을 분석함으로써, ... ...
- Fun 2012 여수세계박람회 100배 즐기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색색의 레이저와 홀로그램이 광장을 수놓고 있는 이 곳은? 바로 박람회장 중심에 위치한 엑스포디지털갤러리에요. 초대형 LED 화면을 통해 사신기, 심청전, 신지께 여 인어이야기(거문도에 살았던 신지라는 인어공주 설화) 등 다양한 영상과 꿈의 고래 등 관객과 대화하며 이야기가 진행되는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장 건강이 좋지 못한 이유다.이 결과에 대해 식약청은 “건강한 장내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채식과 유산균이 풍부한 김치, 된장 같은 전통 발효식품을 많이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고 발표했다. 슬로우푸드와 채식, 전통 발효식품으로 장내미생물을 잘 관리한 장수촌 사람들이 그 보답으로 ... ...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연구되고 있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는 끈이론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인 초대칭 입자를 찾고 있지만, 물리학자들에 따라 지금보다 1만 배 이상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다중우주의 존재는 우주 자체의 모습을 밝히는 의미도 있지만 또다른 의미도 있다. ...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사람의 눈처럼 물체를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을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다.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면서 카메라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가구 밑의 어두운 구역도 청소가 가능해졌다.최근 개발된 로봇청소기는 방과 방 사이의 경계도 ... ...
- 뉴로피드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화난 얼굴이나 역겨운 대상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 부위로 알려져 있다. 실험 대상에게 섬엽의 활동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스스로 섬엽의 활동을 높이는 훈련을 계속했더니 놀랍게도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됐다. 이 기술을 ...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