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패턴 연구에 대해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있답니다. 더 나은 작품을 설계하고 제작하기
위
해서죠. 앞으로도 수학의 힘을 빌려 계속 작품을 발전시킬 계획이니, 기대 많이 해 주세요!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친구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순간은 언제인가요? 그 순간을 사진으로 남긴다면 정말 좋겠죠? 여기 동물 생애 최고의 순간을 담은 사진들이 있 ... 평소에 노란색이지만 짝짓기 철이 되면 검은색으로 바뀌지요. 짝짓기 철이 되면 눈 주
위
의 피부가 사진처럼 아름다운 초록빛 혼인색이 된답니다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B2 C3 D4 에
위
치한 알파벳과 겹치지 않도록 문자를 채우면 왼쪽의 두 가지 경우가 나온다.
위
의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숫자를 채워 보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아래 네 가지 경우 중 단 두 가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되면 조건에 맞게 나머지 칸을 ... ...
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새로운 설계를 도입했다. 이제는 과학으로 거듭난 대형 여객선이 타이타닉이 잠든 바다
위
를 누비고 있다. 과학의 눈으로 초호화 거대 여객선의 과거와 현재를 함께 되짚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Part2.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타이타닉이 다시 수면
위
로 떠오르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침몰 사건의 주인공인 타이타닉은 아직도 비극의 장소에 그대로 머문채 자신의 뒤를 이은 거대 선박이 대양을 활보하는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다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Cut)’은 빛의 굴절 법칙을 활용해 최대의 섬광과 광채를 가진 다이아몬드를 만들기
위
한 가장 정교한 연마 방식이다. 광 투과성이 가장 좋은 물질인 다이아몬드를 여러 각도에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깎아 빛과 빛끼리 마주쳐 더욱 찬란하게 빛나도록 세공하는 브릴리언트 컷은 오늘날 가장 비싼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따져보기 시작했다. 가스 이온의 무게가 가벼워 나노 입자보다 먼저 날아와 감광막
위
에 달라붙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뒤늦게 날아온 나노입자들은 같은 극성으로 대전된 가스 이온들을 피해 감광막 사이 빈 틈을 찾아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성질을 이용해 감광막의 모양만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많았다.버섯은 보통 나무나 봉지, 병 등에서 키운다. 그 중 병에 기본 배지를 깔고 그
위
에 버섯을 키우는 병재배를 응용했다. 자연사랑반은 목화솜 부산물로 된 기본 배지 대신 낙엽을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거의 한 달 정도 일요일마다 한국 농수산대 장현유 교수를 찾아갔다. 김희진 학생은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➊ 물을 렌즈로 만든다고?공부하다가 책
위
에서 잠이 들었다. 일어나보니 입에서 침이 질질 새고 있다. 책에 흘린 침방울을 들여다보자. 혹시 침방울 아 ...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중략…)③ 손바닥
위
의 실험실 랩온어칩(Lab on a Chip)(…중략…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력량. kWh의 천 배다.열은 물을 데울 수 있다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면 이 어둠과 추
위
에서 벗어날 수 있다니 정말 다행이야. 하지만 햇빛만 가지고 에너지를 만드는 건 뭔가 조금 아쉬운 느낌이 들어. 듣기로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해 온수를 만들거나 난방을 쉽게 한다는데, 또 다른 용도로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