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아기 눈이 푸른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배열구조가 어른에 비해 덜 치밀하고 얇다. 이로 인해 내층의 혈관망이 비쳐보여
조금
푸르게 보이는 양상을 띠는 것이다. 마치 손목 부위의 피부 아래로 핏줄이 푸르스름하게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이후 나이가 들수록 교원섬유의 배열구조가 치밀해지고 두꺼워지면서 아기 눈의 푸르스름한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와 끈적끈적하게 이겨주기도 했지요.다이달로스는 제 몫의 날개가 완성되자 이번에는
조금
작으나 보드라운 깃털이 훨씬 많이 들어간 이카로스 몫의 날개를 만듭니다.날개가 만들어지자 다이달로스는 이 날개를 짊어지고 첨탑으로 올라가 아들에게 설명합니다.“저기 저 절벽 앞에 떠있는 갈매기를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정신력(Mind Control) 등이 있다. 어떤 종류의 운동이냐에 따라 요구되는 영양소의 종류도
조금
씩 차이가 있으며 영양소의 배분, 구성에도 약간씩 차이가 난다. 필요한 영양분을 고루 섭취하기 위해 전체 칼로리 섭취량의 55-65%는 탄수화물, 10-15%는 단백질, 25-30%는 지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어떤 ... ...
태양이 가장 멀어지는 7월 여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매우 화려한 천체들이 지평선 부근을 수놓는다. 맨위 그믐달에 가까운 작은 달이 떠있고,
조금
아래에 밝은 행성인 토성과 새벽하늘을 밝히는 샛별인 금성이 먼저 눈에 뜨인다. 또 토성과 금성 바로 옆에는 밝은 황소자리의 1등성 알데바란이 빛난다. 즉 언뜻 보면 별과 행성이 어우러져 밝은 점 셋이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의 정답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15°×6시간=90° 돌아간 B다.하지만 위 정답은 엄밀히 말하면
조금
틀린다. 만일 문제(1)의 정답이 완벽하게 맞는다면 북두칠성은 계절에 관계없이 20시면 북극성의 왼쪽에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완벽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공전운동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없애는 기술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번에 태어난 아기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부모의 불임을 치료할 목적으로 다른 여성의 세포질을 넣는 세포질이식법을 사용했는데, 뒤늦게 다른 여성의 유전자가 아기에서 발견된 경우다.그렇다면 유전자변형 아기란 표현은 어울리지 않는다.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세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연구 범위가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보다
조금
만 더 커져도 바로 이론적 한계에 부딪히게 돼 있다. 예를 들면, 아직도 제트가 근본적으로 사건의 지평선 바로 바깥에서 형성되는지 아닌지조차 잘 모르고 있는 형편이다. 그렇다고 해서 관측이 잘 돼 자료가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된다. 좀 더럽게 살아도 별탈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이처럼 과민한 반응을
조금
씩 줄여나감으로써 강박적인 행동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다. 멜빈은 일종의 동물 치료 효과를 보았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멜빈의 가장 중요한 치료자는 캐롤이다. 그녀는 멜빈의 감정을 존중하고 받아들일 뿐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만끽하면서부터 아닌가. 보고 듣는 것만으로 만족할 수 없었던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조금
씩 해결해준, 손에 얽힌 이야기를 자세히 살펴보자.비가 오는 어느 오후. 교문 앞에서 비를 피하고 있던 한 여학생이 아버지로부터 ‘데리러 갈게’라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받는다. 학교 앞에 도착한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한다. 그리고 응회암과 같은 퇴적층을 만나 잠시 머물기도 한다.그러다가 해수면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서 물은 이전보다 훨씬 두꺼운 퇴적층을 만난다. 여기서부터는 물은 퇴적층에 흡수돼 저장된다. 퇴적층은 물을 함유할 수 있어 저장고 역할을 한다. 제주 지하수의 비밀은 바로 여기에 있다.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