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용, 사람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체크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혈압 체온 면역
세포
이상유무, 당뇨병 간염 암 AIDS 같은 병의 진단이 바이오칩 하나로 해결될 날도 멀지 않았다. 이때쯤에는 의사들도 별로 할 일이 없어 심심해할 것이다. 무궁화의 변신벼를 비롯한 농작물의 품종개량도 2000년대에는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IGF-1의 생산(이영익박사팀)은 특히 난장이와 당뇨병환자가 반겼다. 인체의 간
세포
에서 성장인자를 분리, 유전공학적으로 대량생산하는 이 기술은 사람의 성장촉진제로 쓰일 뿐 아니라 근육의 손상이나 골절의 치료제로도 유망하다.이른바 무공해농약이라고 불리는 미생물 살충제(김정일 박사팀)도 ... ...
다이어트하다가 어지러워지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자극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헤마토크리트치는 혈액중 혈장을 제외한 여러가지
세포
성분의 분량을 전체혈액량에 대한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다. 청소년의 정상치를 보면 남자 43%, 여자 41% 정도다.그러나 이러한 정상치는 통계적으로 조사한 평균치이므로 사람에 따라서는 좀 더 낮은 값을 ... ...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년에 쓴 "참, 안됐네요"라는 글에서는 혈관으로 들어가 정상적인
세포
는 다치지 않은채 암
세포
를 박멸하는 미니로봇을 묘사한 바 있다.아마도 그러한 로봇들이 실제로 등장하여 활동하게 되는 시점에 살고 있는 모양이다.MIT thanks to the presence of its artificial-intelligence guru, Marv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mRNA로부터 상보성DNA(cDNA)를 합성한 다음 클로닝하면 된다.또 사람의
세포
와 대장균의
세포
는 RNA의 합성원리가 서로 다르다는 점도 유전공학자들의 오랜 숙제였다. 일반적으로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으면 사람의 유전자는 대장균에서 전사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NA합성은 RNA 중합효소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집어넣어 준 유전자이식 실험동물이 만들어지거나 실험실 내에서 배양이 가능한 숙주
세포
가 개발된다면 프라이온의 신비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 것이다.요컨대 이런 알맹이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이 오리무중의 질병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고 프라이온의 생물학적 의미에 대해 폭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소장 닐즈 야네(1984년 노벨의학생리학상 수상)의 두터운 신임을 얻게 되었고 마침내 '몸
세포
의 DNA 유전정보는 모두 생명현상의 기본으로서 일정불변하다'는 종래의 정설을 뒤엎고 'DNA는 생물체내에서 불변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변화하고 움직이는 다이내믹한 존재'라는 결론을 얻어 노벨수상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섬유소를 분해하는 능력이 있는 세균을 배양시키고 있다. 세균이 섬유소를 분해시키면
세포
안에 들어 있는 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 세균이 도움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순전히 식물성 뿐인 먹이를 알맞게 삭이려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토끼는 풀을 앞니로 쓸고 어금니로 맷돌질하여 위로 ... ...
낭성섬유증에 유전자 치료 효과보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모르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이 유전자가 일시적으로만 효과를 보이는 것이 되지 않도록
세포
가 증식할 때마다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이런 '유전'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낭성섬유증환자는 계속해서 유전자 치료를 받아야 할 것이다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줄여 추위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이때 몸속에서는 동해(凍害)방어물질을 만들어 내
세포
물질의 동결을 예방한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활단계별 태를 달리하는 변태(變態)도 곤충만이 갖는 생존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파리나 나비류와 같이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