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소장 닐즈 야네(1984년 노벨의학생리학상 수상)의 두터운 신임을 얻게 되었고 마침내 '몸
세포
의 DNA 유전정보는 모두 생명현상의 기본으로서 일정불변하다'는 종래의 정설을 뒤엎고 'DNA는 생물체내에서 불변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변화하고 움직이는 다이내믹한 존재'라는 결론을 얻어 노벨수상 ... ...
암치료의 새로운 무기 등장해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얻어냈다. 로다민-123을 암에 걸린 쥐에 주사한 뒤 청록색 아르곤 레이저를 쬐 주었더니 암
세포
가 순식간에 사멸되었다.수백종의 염색물질과 수천가지의 레이저 파장 중에서 최적의 조합이 무엇인가를 찾는 수고스러운 일을 계속하고 있는 카스트로박사는 피부보다 좀 더 깊은 곳에서 발생한 심부 ... ...
야채속 유독성분이 원인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윌리엄즈 교수 등 3명의 학자는 파킨슨씨병이나 알츠하이머병(노망병)에서 볼 수 있는 뇌
세포
의 손상이 음식물의 유독성분을 분해하는 효소의 이상에 기인한다고 주장했다.이미 알츠하이머병과 음식물중의 알루미늄과의 관련을 지적하는 연구결과는 몇차례 있었지만, 야채 등에 포함된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같이 우주의 어느 구석이라도 표현할 수 있다. 아주 작은 세계인 생명 공학의 염색체와
세포
분열까지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고, 들여다 볼 수 없는 인체의 깊은 내부나 복잡한 기계의 내부도 보여줄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기하학적인 이미지도 창출해 낼 수 있게 되었다.이제 애니메이션으로 ... ...
마늘, 약으로 쓰일수 있나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재발작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마늘이 산화물이나 중금속에
세포
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낸다는 보고도 있어 주목을 끌었다. 또 동양에선 속설로 익히 알려진 마늘의 진통능력이나 정력강장력도 거론됐다.약으로 쓰기는 아직 일러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떨켜라고 알려진 특수한
세포
층이 잎의 밑부분에 형성된다. 아울러 이 층 뒤에 있는
세포
는 코르크처럼 단단해진다. 그 결과물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물을 수송하는 물관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잎으로 가거나 잎에서 나오는 물과 양분의 수송이 크게 제한을 받는다.이로 말미암아 잎의 활동은 ... ...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1972년 소련의 안과의사인 표도로프박사는 각막외면의 피층을 방사상으로 절개, 각막내피
세포
의 손상이 거의 없이 근시를 교정했다. 그후 이 방사상 각막절개술은 미국으로 건너가 더욱 발전되게 되어 오늘날에는 대표적인 근시교정수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국내에서는 1982년 필자가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다. 뱀장어의 점액
세포
밑에 비늘이 숨겨져 있는 것이다.뱀장어는 피부에 있는 점액
세포
가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민물과 바닷물에서 생활할 수 있다. 몸표면의 점액을 닦아내면 그 밑에서 비늘이 나오지만 방수성(防水性)이 없어지기 때문에 몸 안으로 물이 들어온다. 그러면 ... ...
5세대 컴퓨터의 성공과 실패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명령을 수행하는 폰노이만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두뇌구조는 수십 만개의 뇌
세포
들이 동시에 병렬적으로 사고하는 분산처리방식을 갖고 있다. 컴퓨터의 구조를 이러한 인간의 사고패턴에 접근시킬 수는 없을까. 이러한 노력의 결과 '생각하는 컴퓨터'라고 불리는 '제5세대 컴퓨터' ... ...
아담도 흑인이었나?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발표돼 인류학계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브논쟁'이라 불리는 이 논쟁은 주로 인간
세포
속의 미토콘드리아에서 DNA를 추출, 연구 분석한 유전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것. 이들은 '적어도 1백만년 전에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를 떠나 세계 각지에서 서서히 현대인으로 진화해 왔다'는 기존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