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프로그램이 기획과 함께 라이브러리를 설계하는데, 프로그래밍 툴은 어셈블러와 C언어를
주로
사용한다. 속도를 요하는 부분은 어셈블러로 처리하고 알고리즘은 C로 작성하는 것이 보통. 하지만 게임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 자체에 대한 지식만으로 해낼 수는 없다. 게임에 등장하는 그래픽과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재미있는 것은 개발도상국은
주로
식량 자원 개발에 이용하고 있는 데 반해 선진국은
주로
관상식물 품종개량에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점이다.동물의 유전형질 변환 기술은 방사선을 이용하기 보다는 동물의 생식세포를 시험관 안에서 유전자 조작 기술에 의해 변환시키는 유전공학적 기법이 많이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등 생태적 드라마가 이 조그만 한반도에도 벌어져 왔을 것이다.거기에 중국 등지로부터
주로
서해를 통해 난민들이 계속 유입되고 전쟁에 의해 한반도 내의 인구이동이 가속되면서 점차 혼혈이 일어났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한국인의 세 가지 얼굴형은 결국 한반도 전역에 서로 교차해 퍼져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있으나 주요한 미생물은 광합성세균 효모균 유산균 방선균 등이다. 이들 미생물은
주로
발효식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며 인체에는 아무런 해가 없다.광합성세균은 토양이 받는 빛과 열을 에너지원으로 한다. 식물뿌리의 분비물, 유기물 또는 유해가스 등을 먹이로 해 질소화합물 아미노산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우리나라에서는 연실로 상백사나 당백사와 같은 명주실을 많이 썼다. 연싸움을
주로
하는 방패연 실에는 유리가루나 사기가루를 부레 풀로 먹여 사용했다. 참고로 연의 면적에 따라 풍압을 견딜 수 있는 연실의 인장 강도는 1㎡당 20.83kg이다.넷째는 연실을 감는 실패인 얼레다. 얼레는 풍압을 견딜 수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예방할 수 없다.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호흡기 점막세포에서
주로
증식하기 때문에 호흡기 점막 표면에 항체가 있으면 쉽게 퇴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뿐 아니라 돼지 말 닭 등 다른 동물 세포에서도 증식하면서 쉽게 항원성이 변하는 것이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다시 추가 비용이 들 게 뻔하다.따라서 CD-ROM의 속도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주로
사용하게 될 타이틀이 그래픽 위주인지 텍스트 위주인지 등을 고려해보는 것이 가장 우선돼야 할 것이다.그리고 지금 당장 CD-ROM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 올 여름 경 대폭의 가격인하가 이루어질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놀라운 멸종생물의 DNA는 호박(琥珀)을 연구하는 고곤충학자들로부터 발표되었다. 호박은
주로
소나무나 전나무 같은 침엽수 껍질에서 나온 끈끈한 수지가 굳어서 된 화석이다. 1백50만년 된 것부터 3억년 전의 것까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도미니카공화국이 호박이 가장 과학적 가치가 있다. 1백개 중 ... ...
UN은 메뚜기떼와의 전쟁에서 패배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강한 바람이 이들을 바다에 쳐넣었기 때문에 막을 수 있었다고 발표했다. 4억달러를 들여
주로
인공위성에 의존, 메뚜기떼와 싸우려는 UN의 계획은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것.UN 식량농업기구(FAO)는 메뚜기들이 떼를 짓기 전에 없애버리려고 해왔다. FAO는 사막의 녹색점을 찾아내는 일을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아니면 옥상이나 베란다에 설치해 놓고 이중성과 행성 등 태양계의 천체들을 관측하는데
주로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망원경의 선택은 달라진다.전자의 경우 관측 대상들의 표면 밝기가 낮으므로 f수가 작은 망원경을, 후자의 경우 f수가 큰 망원경을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은하와 같이 먼 하늘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