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아음속 캡슐 트레인이 개발되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25분이면 갈 수 있을 거라고
해
요. *아음속 : 소리의 속도인 음속보다 약간 느린 속도.음속은 시속 1224km다. 인터뷰 초고속열차, 10년 이내에 만날 수 있어요!_이관섭(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철도연구팀장) 하이퍼루프나 아음속 캡슐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땅을 만드는 부분을 ‘조산대’라고 한답니다.섭입대나 조산대에서는 두 판이 계속
해
서 부딪히며 마찰하기 때문에 땅속이 뜨겁게 달아올라 있어요. 마그마가 쉽게 생겨나서 화산이 줄을 지어 폭발하는가 하면, 땅이 부딪히며 지진도 자주 발생하지요.불의 고리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태평양판과 그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과학자들은 왜 과학을 연구할까요? 많은 과학자들이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기 위
해
연구를 할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연구실은 좀 더 특별한 것을 연구하는 ... 일에도 과학이 이용된다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미래 과학자를 꿈꾼다면 즐거운 과학에 한번 도전
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창간 기념 이벤트] 수학동아 일곱 번째 생일 파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에서 창간 7주년을 맞아 태국 탐사대를 모집합니다. 벌써 다섯 번째 태국 탐사대예요. 지난 기회를 아쉽게 놓쳤던 독자들은 주목
해
주세요.2017 태국 탐사대는 태국의 전통 문화 체 ... 미션에 도전
해
보세요. 정기구독자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답니다. 함께
해
요~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
해
~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은 천재가 오랫동안
해
결되지 않은 문제를 혼자 힘으로 멋지게
해
결하면서 발전하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영국의 저명한 수 ... Is Finally Found’▼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사는 법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
해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주인공이 길을 걸을 수 있도록 도형을 회전
해
시점을 바꿔주거나 장애물을 설치
해
길이 이어지도록 만들어 주면 통과할 수 있어요. 스테이지가 104개나 되기 때문에 웬만한 착시 도형은 모두 만나 볼 수 있어요. 그래도 부족하다면 직접 스테이지를 만들어 즐길 수 있어요.착시의 매력에 빠져 시간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자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와 세일중학교 한서경, 용인동백중학교 박동현 독자는 방탈출 대결을 펼치기 위
해
아침 일찍 혜화역 2번 출구에 모였어요. 근처에 있는 마로 ... ’는 끝이 났어요. 앞으로도 수학동아는 알차고 재미있는 이벤트를 계속 준비할 예정이에요. 기대
해
주세요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행복
해
질 것으로 믿는다.아울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재미있고 유익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
해
애쓰는 미래교실 네트워크 소속 교사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거꾸로 교실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학생들을 수학의 매력 속으로 끌어들인 활동 덕분이다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예상 시기가 어긋나는 이유에 대
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표준목이 지역을 대표하지 못
해
서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관측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성은 갖추고 있지만, 종의 구분이 없는 것이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선택하는 방법부터 연구 수행 방법까지 모두 달라야 한다”며 “지금처럼 남들과 똑같이
해
서는 그런 성과를 내기 힘들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PART 3. 건강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