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학자에 대
해
궁금
해
진다면? 기자는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 ... Is Finally Found’▼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사는 법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
해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기계는 소프트웨어가 알려준 대로 같은 블록끼리 한 바구니 안에 모아준다.권 대표는 올
해
안에 엑스라지 크기의 상자에 든 블록 전체를 15분 안에 검사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개선할 예정이다. 그 전에는 같은 상자를 사람이 검사하는 데 한 시간이나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예상 시기가 어긋나는 이유에 대
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표준목이 지역을 대표하지 못
해
서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관측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성은 갖추고 있지만, 종의 구분이 없는 것이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선택하는 방법부터 연구 수행 방법까지 모두 달라야 한다”며 “지금처럼 남들과 똑같이
해
서는 그런 성과를 내기 힘들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PART 3. 건강한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한편으로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한국의 현실이 안타까웠다. 올
해
한국 과학자가 노벨상을 타지 못한다면 그것은 어쩌면 다행스런 일이다. 이런 생태계에서 노벨상이 나온다면 기형적인 한국의 연구 생태계가 건강한 것처럼 포장될 수 있다. 한국이 지금까지 연구비 규모를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여겼죠.” 두 사람 사이에 사소한 오
해
와 불신이 쌓이면서,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
밀턴은 평생 어색하고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더 큰 갈등은 다음 회에 터진다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적이 살의를 품고 있다는 건 총탄의 궤적으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탄환들은 방금 전까지 윤환의 머리가 머무르던 곳을 관통했다. 윤환은 벽 ... 규칙을 어겼던 단 한 번의 예외를 철저하게 기록하고 보관했다. 그리고 다음 목적지를 향
해
새로운 웜홀을 열고는 태양계에서 사라졌다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안녕~! 나는 어과동의 대표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귀여운 얼굴 덕분에 많은 동물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지! 동물들이 나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궁금하지? 나 ... 저는 제 깃털을 이용
해
화려한 옷을 만드는 것보다 로슬린 박사님이 공작의 생태를 이
해
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싶어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봄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봄을 만끽하기 위
해
봄소풍을 가기로 한 섭섭박사님. 아름다운 꽃이 만발한 공원에 가서 예쁜 돗자리를 깔고, 맛있는 도시락을 먹으려는 순간! 뭔가 허전 ... 멋진 실험 모습을 뽑아 ‘반짝반짝 소개터’에 싣고 선물을 보내 드릴 거예요~. 많이 참여
해
주세요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지평선이 북쪽 지평선보다 더 높고, 가깝게 보였습니다.연구팀은 이렇게 고대 사람들이
해
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에 따라 돌기둥을 세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것으로 천문 관측이 5000년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판에 ... ...
이전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