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08
말한다. 그 결과 이 배지에서도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었다는 것.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자
들은 인의 함량이 농도별로 정밀하게 조정된 배지를 만든 뒤 여기에 박테리아를 키웠더니 박테리아 증식은 인 농도에 비례했다. [비소 박테리아의 현미경 사진. 세포 안의 쌀알처럼 생긴 게 액포로 이 ... ...
‘21세기 일류기업’ 씨뿌리는 초전도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08
보세요. 선배 작가들의 글을 펼쳐놓고 한 글자 한 글자 베껴 쓰며 읽고 생각합니다.
연구자
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연구팀이 쓴 논문을 넓고 깊게 읽어놔야 합니다.” 유 교수 자신이 유학 시절 이 방법을 실천했다. 매해 1000편의 논문을 읽었다. 그냥 읽은 게 아니라 모르는 부분이 나오면 그 부분을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07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연구 결과를 낼 수 있는 사람은 국내에 많지 않다.
연구자
로서 경쟁력의 바탕인 것이다. 또한 전혀 다른 배경을 갖고 있는 의사들과의 협력 연구와 의사소통 경험은 문과와 이과의 융합이 필요한 현대에 매우 중요하다. 필자가 조교수로 재직 중인 가톨릭대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07
이 거울도 대칭이잖아! 우리가 거울대칭을 놓치고 있었어. 나와 함께 거울대칭의 대표
연구자
를 만나러 가자구!저는 최근에 벽횡단 공식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어떤 다양체가 시간에 따라 움직인 궤적을 보면 계속 같은 성질을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벽을 만나면서 그 모습이 확 바뀌는데, 이 때 두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07
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그대로 본따고, 생리적 기능까지 갖추는 연구가 최근 생체모방
연구자
들 사이에서는 소위 ‘핫(hot)’한 분야로 꼽힌다. 허 교수의 허파꽈리 조직 모사 칩은 신약의 반응을 테스트하고 부작용을 없애는 데까지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허파꽈리 칩을 통해 미세 신체조직 모방의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07
500만 년 정도 더 앞선 지층에서 발견된 조류 화석인 ‘샤오팅기아 정기’가 공개됐다.
연구자
들은 “이들 화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시조새는 새보다는 공룡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런 이유로 ‘시조새는 공룡과 조류를 잇는 중간 단계가 아니어서 진화의 증거가 아니다’라는 주장이 나오기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06
수학의 바탕 위에서 발전한 것이다. 1980년대까지 기호적 인공지능은 각광을 받았다. 많은
연구자
들이 적절한 기호의 표현 방법과 기호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그러나 80년대 중반에 비판에 부딪힌다. 단순한 기호만으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모두 표현할 수는 없다는 것이 반론이었다. 사람이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06
맨틀의 대류를 일으켜 새로운 해양지각이 형성된 것이 동해라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
연구자
들의 설명도 완벽하게 증명하려면 해저 지각을 15km 이상 뚫어봐야 한다. 맨틀층에 가까운 정도로 해저 지반을 뚫어서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06
데이터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지만 태양질량의 100억 배가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자
들은 “초기 우주의 퀘이사 밝기를 생각하면 일부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100억 배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관측위성의 감도가 높아지면 더 무거운 블랙홀도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는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06
교수의 연구실에는 박사과정 12명, 석사 4명 총 16명의 학생이 있다.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연구자
로서의 덕목은 무엇일까. 노 교수는 우선 학문적인 측면에서 지식 자체보다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을 키우라는 이야기를 했다.“20대 중반에 연구한 걸 갖고 평생 살 순 없습니다. 세상은 계속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