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05
사는 사람들의 장내미생물은 종류와 양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자
들은 서울에 사는 40대 이상 44명과 장수촌인 충북 영동군 토항마을과 강원 춘천시 박사마을에 사는 40대 이상 25명의 분변을 얻어 장내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장수촌에 사는 사람들이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05
살 수 없게 된다면요? 방사능 오염이 지구 대륙 전체에 퍼진다면요?”잠시 머뭇거리는
연구자
들. 이내 진지한 답이 돌아온다.“생각만 해도 끔찍하지만 충분히 발생할 수도 있겠네요. 그때는 비용이 문제가 아니죠. 그런 상황이라면 해저도시는 충분히 선택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생각보다 저렴한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05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 사이에 아토피가 발생하는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해
연구자
들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준비할 때 올바른 균주나 효과적인 균주의 조합을 찾지 못한 결과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임 교수팀이 개발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 IRT5는 현재 한국야쿠르트에서 발효유제품에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05
1960년대였다. 그러나 이 발견은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했다.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일본의
연구자
들이 사하제(설사를 유발해 변비를 치료하는 약)로 쓰이는 대황이 약효를 보이려면 장내미생물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던 김 교수는 한약에 즐겨 쓰이는 여러 약재도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05
보도자료의 글을 훑어보고 글의 초점에 맞춰서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렇게 그린 그림은
연구자
가 다시 검토한다. 잘못 표현된 부분이 있으면 수정한다. 이 과정을 몇 번 거쳐 그림은 완성되고 보도자료에 포함돼 언론에 배포된다.이 과정에서 어떤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야 할지 심사숙고하며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05
10년 뒤에는 연료전지 기술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 고등학생들이
연구자
의 길로 들어선다면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할 시기다. 성 교수는 현재 고등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만한 분야라며 연료전지에 매력을 느끼고 있는 학생이라면 언제든지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04
결합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
연구자
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물질로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비정상적으로 가공되고 그 양도 적다. 이 유전자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자
들은 이 유전자가 피부 세포가 접히는 배열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지금까지 두 사람의 지문이 동일한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다. 지문이 확고한 증거로 채택되는 이유다. 일란성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4
배운 분자 정보에 기반한 분류학 지식을 겸비하고 있는 윤 교수는 이곳저곳에 공동
연구자
들이 포진해 있다. 윤 교수는 올해 본격적으로 성균관대 실험실을 꾸리고 있다. 현재 구성원은 석사과정에 입학한 대학원생 한 명과 며칠 전부터 출근하는 박사후연구원 두 명이 전부다. 그가 대학에 들어갔을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04
수천 명의 물리학자들이 이를 통해 LHC 데이터를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나
연구자
들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방식을 ‘e-사이언스(e-science)’라고 한다.2011년, LHC는 더욱 성능을 높여서 2010년 데이터의 약 150배에 달하는 데이터를 얻었다. 물리학자들은 이를 분석해 힉스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