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같은 종이지만 유전적으로 꽤 차이가 있다는 걸 발견했답니다.물고기, 너의 이름은?! - 김경화사람들이 바닷물고기의 정확한 이름을 알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지사탐에 함께하게 됐어요. 흔히 ‘우럭’이라 불리는 물고기의 이름은 ‘조피볼락’이에요. ‘광어’도 일본에서 온 이름으로, 표준어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현지 상황에 따라 미뤄질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12월 5일 발사될 가능성이 높다. 김 선임연구원은 “천리안 2A호가 14m 높이의 아리안 5ECA 로켓 꼭대기에 장착되는 모습을 볼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가슴이 뛴다”며 “위성이 발사체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잘 결합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필수 아이템으로 꼽힐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패딩 구입 시 몇 가지 팁을 귀띔했다. 김 대표는 “같은 크기의 패딩이라면 무조건 가벼운 게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충전성이 큰 충전재는 적은 양만 넣어도 패딩이 부풀어 오른다. 하지만 충전성이 낮은 충전재는 그보다 더 많은 양을 넣어야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0년 간 반도체를 연구하다가 서울대 교수로 부임했다. 공대 진학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김 학부장은 “공학자는 세계를 선도하고 나라를 먹여 살리는 직업이다”며 “한국 공학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인 만큼 국제적으로 경쟁하며 수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데이터가 나온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김 교수는 분석 툴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생물학 연구와 컴퓨터 데이터 처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우리 연구실의 강점”이라며 “단일 세포 연구에 좋은 성과가 나오면 암 환자별 맞춤 치료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2000V의 전류가 흐르고 있었다. 이 원숭이는 19일 오전 10시경 13일 만에 겨우 생포됐다. 김 센터장은 “센터 내에 있는 원숭이는 엄격한 검역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원숭이에 의한 질병 감염 우려는 없다”며 “탈출한 동안 원숭이가 야생의 다른 동물들과 접촉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시 한 달 동안 ... ...
- [뉴스 포커스]수확의 계절, 수학하고 놀자! 제4회 광양수학축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사는 연필 72개로 기하학적 구조물을 만드는 ‘조지하트의 72연필’을 선보였어요. 김 교사는 “구조물을 함께 만들며 관련 있는 수학 개념을 물어 본다”면서, “수학체험전에 온 학생들은 재밌는 체험을 통해 답을 스스로 찾아내며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얻는다”고 말했어요. 이밖에도 체육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그는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김 씨는 화학생물공학부의 장점으로 “넓은 분야를 배우는 만큼 연구실이 다양하고 선택의 폭이 넓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학부 이름에 ‘생물’이 들어가 있지만, 생각보다 생물을 많이 배우지는 ... ...
- [과학뉴스] 배고플 때 예민?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신경 전달 물질의 양을 늘려 예쁜꼬마선충의 회피행동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당뇨병이나 치매 등 인슐린 관련 대사증후군을 앓는 환자들이 겪는 감각 기관 이상 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5252/embj.20179840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타이탄’(27.1PF)을 이용해 입자 2조 개로 우주 진화 시뮬레이션 기록을 세웠다. 김 교수는 “기록 경신을 위해 누리온으로 입자 수를 최대 3조 개까지 늘려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암흑물질에 양성자, 중성자 등 각종 중입자(바리온)까지 고려해 우주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