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공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그는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김
씨는 화학생물공학부의 장점으로 “넓은 분야를 배우는 만큼 연구실이 다양하고 선택의 폭이 넓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학부 이름에 ‘생물’이 들어가 있지만, 생각보다 생물을 많이 배우지는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NPU와 카메라 기능이 결합한 사례다.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앞으로는 AI 프로세서가 스마트폰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마라톤 얘기가 나왔을 때 전용 신발이 있다고 덥석 물지 말았어야 했다. 그렇게
김
민아 기자와 함께 10km 마라톤 참가는 현실이 됐다. 기본 체력에는 나름 자신이 있었다. 기자가 된 뒤 최근 몇 개월 운동을 규칙적으로 못 하긴 했지만, 평소 웨이트 트레이닝을 주 3~4회 했고, 자전거로 수십 km 거리도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연구소 벽에 걸린 시계와 창틀에서 빛나는 LED가 형광등 빛으로 작동한다니 신기했다.
김
팀장은 “염료 감응 태양전지의 실내 빛 변환 효율은 20%에 이른다”며 “태양전지를 센서와 결합하면 사물인터넷(IoT)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수백 가지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한번 발병하면 거의 무조건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좀비 바이러스 후보라고 할 수 있다.
김
교수는 “광견병 외에도 일본뇌염이나 뇌수막염처럼 뇌에 침입하는 병원체가 이상 행동을 유발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빨리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그 결과 수능 국어에서 1등급을 받았다.
김
씨는 “나처럼 장래에 무엇을 해야할 지 잘 몰라 방황하기 쉬운 고등학생 입장에서 산업공학 과는 정말 추천해주고 싶은 학과”라고 말했다. 쉬는 시간과 등하교 시간 이용 18학번 구상모 “공부를 할 때마다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교수와 마주친 것이다. 용기를 내서 그에게 편지 이야기를 꺼냈다. 메저 교수는 만난
김
에 같이 커피나 한 잔 하자며 카페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메저 교수에게 엡실론 추측에 대한 증명을 일반화시키지 못하는 상황을 설명하자 그는 짧은 조언을 건넸다. 증명을 위해 더 필요한 요소가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공감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과장도 “현재 한국의 동물원은 동물 복지를 위해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다”며 “모든 동물원이 함께 발맞춰 변화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고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예측할 수는 없다. 여기에 구조를 바꿔 기능까지 개선하려고 한다면 이는 ‘서울에서
김
서방 찾기’와 같다.아놀드 교수는 발상을 180도 전환했다.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일일이 파악하는 것은 너무 어려우므로, 일단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은 유전자에 여러 돌연변이를 도입한 뒤 그중 기능이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형성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지구조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퍼즐인 이유다.
김
연구원은 “약 5000년 전 제주도와 울릉도, 백두산에 화산 폭발이 일어났던 기록이 있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가넷과 페리도트 같은 지시 광물 연구가 화산 분출의 원동력을 이해하는 데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