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1학년 때 여유롭게 모든 과목을 접하며 자신의 적성을 깊이 고민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 큰 선물이었다고 한다. 1학년 때 전교생이 같은 과목을 듣기 때문에 많은 친구들을 만나 교류할 수 있어서 좋다는 말도 덧붙였다. “저는 수학과 물리 과목을 좋아하고, ... ...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8~19세기 영국은 동력 기관의 발명과 생산 기술의 혁신에 따른 산업화를 통해 농업 위주의 사회에서 공업 중심의 사회로 변했다. 인류는 산업사회로의 진입으로 다양하고 ... 따라서 정보화로 인한 시간적·공간적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윤리적 측면의 문제를 깊이있게 탐구해야 한다 ...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양파를 까듯 목성의 대기를 속까지 꿰뚫어 볼 수 있게 해 줘요. 관측 결과, 목성 대적점의 깊이는 표면에서 320km 정도로 드러났어요. 이는 지구 바다의 평균 수심보다 최대 100배 정도 깊은 수준이지요. 또 연구팀은 대적점이 깊어질수록 더 따뜻하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연구를 이끈 미국 항공우주국 ... ...
-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때문이다. 전 입학부장은 “2단계는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얼마나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지, 진학해서 얼마나 잘 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평가할 뿐”이라며 “대전과학고에 진학한 뒤 공부하고 성장하면서 융합과 창의성의 기반을 쌓아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수학과 과학 이제 어떤 경기가 있는지는 알겠지? 그럼 몇 가지 종목만 조금 더 깊이 살펴보자고. 나와 함께라면 이번 올림픽 안전은 걱정하지 않아도 돼. 나 수호랑이 이름을 걸고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 참가자, 스텝과 관중까지 모두 안전하게 수호할 거니까! 스키점프 멀리 뛰기 비법은 ...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구해 줬답니다. Q더 탐구해보고 싶은 것이 있나요?우선 매미 약충이 뚫고 나오는 땅의 깊이가 저마다 다른데 왜 그런지 알아보고 싶어요. 그밖에도 토종 민들레의 서식지 특성과 어떤 종류의 개미가 꽃의 수분을 가장 잘 돕는지도 궁금하고요. 지구사랑탐사대를 통해 곤충학자가 되고 싶은 제 꿈에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이스브리지 임무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날아다니는 실험실’이라고 불려요. 빙하의 깊이와 높이, 두께, 표면 온도 등 여러 가지 데이터를 관측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장비들을 싣고 다니기 때문이지요. 1초에 1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빙하의 높낮이를 계산할 수 있어요.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에서는 유용하다.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연구팀은 2800km 깊이의 지구 내부를 형상화 한 3차원 지도를 구축했다. 지진에서 방출되는 탄성파의 속도가 매질의 조성과 밀도, 온도 등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우리 발 밑에 감춰진 흥미로운 현상의 윤곽을 파악할 수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상태다. 그런데 눈결정이 자라는 모습을 수학으로 묘사할 수 있다면 그 과정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질 드망주 프랑스 루앙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2017년 이를 위해 눈결정의 성장을 3차원으로 재현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눈결정의 모양을 크게 2가지로 ... ...
- [과학뉴스]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공동연구팀은 화성정찰위성(MRO)의 고해상도 카메라(HiRISE)를 이용해 화성 지각의 3분의 1 깊이에 존재하는 얼음 퇴적물의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화성에 얼음 형태의 물이 있다는 사실은 이미 과거 탐사에서 밝혀졌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정확한 위치와 구조, 두께 등을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