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연구원은 “고도가 낮을수록 뮤온의 수가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해 검출기로 지하 구멍의 깊이를 계산해냈다”며, “앞으로 검출기가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시간을 설문 조사하면서 잠에 대해 더 공부해 보았어요. 이번 계기로 적절한 시간 동안 깊이 자는 것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기자단 친구들도 건강한 생활을 위해 너무 늦은 시간에 잠들지 않기로 약속해요! 헬로키티 생일파티에 다녀왔어요! (도예진 기자·수원 대평초 ...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지진에 비해 규모가 작은데, 왜 더 큰 피해가 발생한 걸까요? 먼저 지진이 발생한 진원 깊이는 지표면 아래 6~9km로, 경주 지진보다 얕았어요. 그 결과, 지상에서 느끼는 진동의 세기가 더 컸지요. 또 이번에 발생한 지진은 주파수가 낮은 중저주파 지진이었어요. 주파수가 낮을수록 흔들림이 지속되는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헬멧을 쓰고 돌아다니는 것만으로도 빠르게 공장의 기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또 깊이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이용해 기계를 분별하거나 공장 관리자들의 신원을 확인할 수도 있지요. 이렇게 실시간으로 산업 현장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게 되면 정전이나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점점 더 육지까지 몰려와요. 실제로 작년 강원도 소돌해변에서는 모래가 깎여나가 1~2m 깊이의 절벽이 생겼어요. 그리고 몇 달 후, 파도가 해안도로를 덮쳐 일부 구간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지요. 이처럼 해변의 모래가 줄어들면서 해안가의 집들이 파괴되거나 구조물이 망가지는 일이 계속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유카탄 반도에는 ‘칙술루브 충돌구’라는 소행성 충돌 흔적이 있어요. 직경 180km에 깊이 20km로, 6600만 년 전에 약 10km의 소행성이 충돌한 것으로 추정되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다고 보고 있어요. 2016년 4월, 국제 연구팀이 해저 시추 를 통해 바다 속 506~1335m에 묻혀 있던 칙술루브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때문이지요. 하지만 심해 생물을 괴롭히는 건 빛과 산소보다도 수압이에요. 바다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이 커지는데, 수심 1만m에서는 지상의 1000배에 달하는 압력을 느끼게 되거든요. 높은 수압은 생물의 세포를 파괴해요. 그래서 심해 생물은 수심 8200m까지만 살 수 있을 거라고 예상되고 있지요.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탐사하기가 어려웠어요. 물속에서는 1m를 내려갈 때마다 압력이 1기압씩 높아지는데, 90m 깊이에서는 사람이 느끼는 압력이 무려 10기압까지 높아지거든요. 배 안에 설치한 조종실에서는 오션원의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요. 손가락으로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촘촘하게 전파를 쏘고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빙하 속 지형의 깊이를 알아냈지요. 그 결과 피의 폭포에서 최대 45m 떨어진 곳까지 바닷물이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깊이 인식 카메라 정도만 탑재돼 있다”며 “깊이 인식 카메라는 사람의 눈처럼 영상에 깊이 정보를 더해 주변을 입체적으로 파악한다”고 말했다. 지도를 만들기 위해 예스24 중고서점 F1963점을 먼저 방문한 로봇은 ‘M1’으로 불리는 자율주행 지도 제작 로봇이었다. M1은 16개 레이저 빛줄기로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