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적도를 표시할 때 빨간 선을 그은 데서 유래했다고 전해져요. ‘붉을 적(赤)’은 ‘
불
화(火)’와 ‘흙 토(土)’로 이루어져요. 큰
불
(火)이 나면 땅(土)이 붉게 보인다는 뜻에서 이 한자가 만들어졌지요. ‘길 도(道)’는 ‘쉬엄쉬엄 가다’는 뜻을 지닌 ‘책받침(辶)’부수와 ‘머리 수(首)’가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추(隹)’로 이루어져 있어요.
불
에 새를 구워 먹는 모습을 한자로 나타낸 거예요. 또 새가
불
에 타 버리지 않을까 걱정하던 마음을 담아 ‘애태우다’라는 뜻도 가지게 됐지요. 마음이 조마조마한 상황을 ‘초조(焦燥)하다’라고 표현할 때 그 의미가 드러난답니다. 한편 ‘점 점(點)’은 의미를 갖는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강렬한 빛이 갑자기 눈에 들어오는 눈부심 현상도 발생했어요. 또 이웃집의
불
빛이나 골목의 보안등처럼 외부의 빛이 집 창문으로 들어와 밤늦게까지 잠들기 어려운 일도 생겼지요. 이렇게 조명을 지나치게 많이 쓰거나 잘못 써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빛 공해’라고 한답니다. 빛 공해에 시달리는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때문에 머물 수 있는 시간도 줄어들어요. 그럼 자연스레 지구로 떨어지면서 대기 중에
불
에 타 소멸되고 말지요. 예를 들어 한국과학기술원의 LINK는 400km 궤도에 있기 때문에 1년 정도 지나면 지구로 떨어질 예정이지요. 반면 2013년 우주로 쏘아 올린 경희대학교의 큐브샛 ‘시네마’는 LINK보다 더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사건 1. 독으로 깜짝깜짝!외래 붉은
불
개미는 다른 외래 생물보다도 더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독으로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는 외래 생물은 우리나라에 ...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Part 3. 외래 붉은
불
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성냥과 라이터 없이
불
을 피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들고 돌아다니는 벌레’라고 여겨서 만든 한자지요. 또한 이때 쓰인 ‘등
불
형(熒)’은 ‘
불
화(火)’와 ‘집 면(宀)’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많은 빛이 집 안팎을 밝게 비추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지요. ‘방출(放出)’은 ‘한꺼번에 확내놓는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어예요. 과학에서는 주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보라색
불
꽃이 공중에서 ‘펑’ 하고 터졌지요. 그걸 본 오로라가 외쳤어요.“보라색
불
꽃! 스트론튬과 구리! 두 금속 원소의 원소기호가 암호일지도 몰라! ‘Sr’과 ‘Cu’말야~!”이 말을 들은 시원이가 자물쇠의 알파벳을 ‘s, r, c, u’로 맞추자 ‘철컥’ 소리와 함께 자물쇠가 풀렸어요. 그리고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6) 대원은 ”사막여우가 밀렵꾼에게 잡혀왔다는 해설사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정말
불
쌍하다고 생각했다”며, “장이권 교수님도 이런 마음으로 수원청개구리 보존을 위해 연구하실 텐데, 앞으로 수청이 탐사에 열심히 참여해야겠다”고 말했지요. 지구를지키는왈랄라 팀의 노희제(대전 전민초 4)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사진)을 복구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
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