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맹
연합
합동
단결
협회
맹약
리그
d라이브러리
"
연맹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70년대에 이미 ESA를 창설했다.ESA는 80년대에 유럽국가들 사이의 전화중계 및 유럽방송
연맹
의 텔레비전 중계를 목적으로 'OTS'라는 실험 위성을 개발해 발사했다. 이외에도 프랑스가 '텔레콤 1호'를, 독일이 'DFS 위성'을, 스웨덴이 '텔레엑스 위성'을, 이탈리아가 '이탤새트 위성' 등을 이미 발사해 ... ...
북한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분야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946년 현재의 '조선과학기술 총
연맹
' 전신인 '북조선 공업기술
연맹
'을 창립해 과학기술이 경제발전의 최대관건임을 강조하면서 적극적인 과학기술 개발 정책을 서둘러 왔다. 하지만 이들이 관심을 본격화하기 시작한 것은 1952년 '과학원'을 ... ...
PART. 1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부쩍 감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강조점을 두는 곳은 소비자의 자발성이 아닌 '단속'이다.올초 미국의 사무용 소프트웨어
연맹
(BSA, Business Software Alliance)은 우리나라를 지적재산권 분야의 우선협상 대상국으로 지정하도록 미 통상대표부에 건의했다. BSA는 알더스 애플 오토데스크 볼랜드 로터스 마이크로소프트 노벨 워드퍼펙 고 등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하나 발견한 것이다. 스코티는 즉시 이 사실을 세계천문
연맹
에 통보하였으며, 세계천문
연맹
은 3월27일자로 이 혜성의 발견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전통에 따라 이 혜성의 이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슈메이커-레비 혜성으로 명명되었다. 이 혜성의 다른 이름은 1993e이다. 이 이름에 포함된 1993은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호랑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북한에는 1954년 김용상이 개인통신으로 국제자연보호
연맹
(lUCN)에 40-50두의 야생수를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1987년 미네소타에서의 국제심포지움에서는 겨우 2-10두 정도로 추계됐다. 그리고 최근의 소식(북한 대중지 '천리마' 6월호)으로는 자강도 화평군 오가산(1천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세기경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측정했다.현재 국제천문
연맹
(IAU)은 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를 1억 4천9백59만 7천6백70 km로 확정,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 길이를 1천문단위 (1AU)라고 부른다.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와 태양의 시반경으로 태양의 반지름을 구하여 보면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천문대에서 촬영한 초신성사진이 국내 각 일간지 1면에 실린 일이 있었다. 국제천문
연맹
(IAU)은 지난 3월31일 북두칠성 근처에 있는 M81이라 불리는 은하 근처에서 밝은 초신성이 발견됐다고 긴급 전문을 보내왔으며, 우리나라 천문대에서도 61cm 광학망원경으로 4월1일과 2일 새벽에 걸쳐 이 초신성을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그 뒤 각국에서 서로 다른 이름의 지명을 붙이기 시작하여 대혼란이 일어나자 국제천문
연맹
의 달위원회가 달의 이름을 통일 조정했다. 일본인의 이름을 가진 달 지명도 여러개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많고많은 달 지명 가운데 한국사람의 이름은 단 하나도 끼어 있지 않아 안타까울 뿐이다 ... ...
수륙 넘나들며 생활하는 수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인근 일본에서는 절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제자연보존
연맹
이 발간한 적색자료목록(Red Data Book)에도 취약종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수달은 CITES조약(절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조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서식하고 있는 크낙새는 전장이 40㎝를 넘는 대형 딱따구리의 일종이다. 국제자연보호
연맹
(IUCN)의 '절종위기'(Red Data Book)에 등록돼 있는 이 희귀조는 일본 쓰시마섬에서 잡힌 표본이 1879년 영국인 트리스트람(Tristram)에 의해 Drgocopus richardsi Tristram이란 학명으로 영국동물학잡지에 처음으로 발표됐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