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d라이브러리
"
위도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한다. 우리나라는 중
위도
지방에 위치하는 까닭에 적도 태평양뿐만 아니라 북서쪽 고
위도
지방에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 세력이 엘니뇨의 영향과 함께 겹치기 때문에 열대나 아열대 지방처럼 엘니뇨의 영향이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현재 중앙 태평양의 ... ...
1. 두개골 비슷, 첫 발견때부터 파충류 분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 발굴된 공룡의 경우도 그 지역이 백악기에는 오늘날보다
위도
가 최소 35-40도 남쪽에 위치하여 상당히 추웠을 것이므로 공룡의 생활습성에 관한 여러가지 추측을 낳고 있다. 극지에 생존했던 공룡은 동면을 했거나 따뜻한 곳으로 주기적으로 옮겨 다니면서 생활했다는 ... ...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은 해양과 호수 등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대기와 함께 적도 지방의 잉여 열에너지를 고
위도
지방으로 운반한다. 또 많은 열에너지를 이 수권 안에 축적함으로써 외부 기후 변화 인자에 의한 기후 변화를 완만히 하거나 천천히 일어나게 한다.빙권(氷圈)은 육지의 빙하 해빙 또는 눈 덮인 지역 등 동토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빙하는 약 10만년 후 점차 퇴각해 향후 약 1만년 동안 간빙기에 위치하다가 다시 빙하가 저
위도
로 확장된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했다.그러나 최근 대서양의 해저 퇴적물과 그린란드 빙하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과거의 기후변화가 여러 사람이 믿었던 것처럼 완만한 곡선을 긋는 연속적인 ... ...
에너지 60% 절약 가능한 이온램프 개발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에너지성은 94년 10월 가까운 장래 전극이 없는 이온램프가 범용 고
위도
램프와 교체될 것이라고 발표했다.전극이 없는 이온램프는 메릴랜드 주 로크빌에 있는 퓨전 라이팅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금까지 램프의 약 1백배 밝기를 낸다.퓨전 라이팅사는 이 전구를 개발하기 위해 처음에는 수은전구에 ... ...
다이아몬드, 한반도서 나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그 배열방향이 다르다.현재 어떤 위치에서의 지구자기의 성분은 경도를 나타내는 편각과
위도
를 나타내는 복각으로 분해될 수 있다. 과거 지질시대에 만들어진 암석의 자기성분을 분석함으로써 그 암석이 생성될 당시의 극의 위치를 알 수 있다.어떤 대륙에서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두 지역의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충돌을 관측했다.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성 충돌은 천문학자들이 예상한 목성의 남반구
위도
43도에서 정확히 일어났고 충돌 예정 시간도 10여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예견된 여러가지 현상, 즉 오로라의 변화 지진파 버섯구름 등이 그대로 나타났다. 새삼 인간의 과학기술을 통한 예견 ... ...
태양관측의 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50도 이상의 장소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흑점의 운동이 적도를 가로지르거나 고
위도
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날 때는 태양의 방위를 잘못잡은 것이므로 참고하기 바란다.(3) 흑점수를 세는 일도 생각처럼 쉽지는 않다. 흑점수를 셀 때는 일반적으로 취리히 측점 상대수를 이용한다. 취리히 흑점 ... ...
무더위·가뭄 기상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따뜻한 바닷물이 낮은 동부태평양으로 흐르게 되며,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상승, 중·고
위도
지역에서 대기 대순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결과 호주 인도네시아에서는 대규모 가뭄, 인도에서는 여름 몬순 약화로 가뭄과 태풍활동이 강화되며 지역적인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미국 서부와 ... ...
(3) '초봄이 한여름' '한여름이 가을'의 대이변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극지방과 저
위도
지방의 기단간의 활발한 교환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저
위도
의 따뜻한 기단이 북상해 그 지역을 고온으로 만들고,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극지방의 찬 기단이 남하한 곳에서는 저온이 되는 것이다. 또한 1년간 지구 전체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은 거의 일정하므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