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d라이브러리
"
위도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이산화탄소를 흡수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탕스 박사팀은 북극에서 남극까지
위도
별로 측정된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보면 북반구와 남반구의 차이가 예상보다 적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고 있다. 화석연료의 소비는 북반구에서 압도적으로 많으므로 만약 제거되는 과정이 전혀 없다면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좀 더 세다. 결국 지구 자기장의 세기를 펼친 지구 지도위에 표시해 본다면 같은
위도
에 대해서 대칭적이지 않은, 조금 의외의 모습이 될 것이다. 우리가 이렇게 지구 자기장에 대해서 자세히 이야기하는 것은 CPE가 관찰할 입자들이 전하를 띠고 지구 자기장에 잡혀 있으므로 지구 자기장의 세기에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있지 않아도 남중한 혜성의 적경을 구할 수 있다. 어떤 지방의 천구 적도면은 그 지방의
위도
만큼 천정으로부터 지평면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적위를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항성시를 알고 있으면 적경을 알고 있는 천체들이 지금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금의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남중했을 때다. 즉 항성시로 13시 24분일 때다. 즉 태양시로 08시08분일 때. 이때의 고도(90-
위도
+적경)는 5.3도이다 (90-37.5-47.2=5.3). 즉 오메가 성단은 남중하는 시간이 해가 뜬 후이므로 우리가 관측할 수 있을 시간인 새벽녘은 남중조차 하지 않아 고도가 더욱 낮을 것이다. 즉 여러가지 사실로 미루어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남긴다. 그리고 동쪽에서 뜰 때와 서쪽으로 질 때의 각도는 연직선에 대해서 그 촬영지의
위도
만큼 남쪽으로 기운다.처음으로 촬영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재미있는 촬영대상으로 북극성 주위의 일주 운동을 들 수 있다. 북극성 부근은 별의 수가 적어 보이지만 별의 움직임이 느린 관계로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새로운 주기가 시작되려고 할 때에는 고
위도
에 나타나고, 최성기에 들어갈 쯤부터
위도
가 낮은 쪽에 나타난다.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쌀알을 뿌려 놓은 듯한 나비 모양을 이룬다.(과학동아 93년 7월호 참조)흑점의 관측은 연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가 여러가지 있어야 거기서 새로운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 거리는 목성 반경의 49%에 불과하다. 따라서 목성과 충돌하게 된다. 충돌위치는 목성의
위도
45도 지역이며, 충돌 속도는 초속 60km다. 그리고 목성 적도에 83도 기울어져 충돌하며, 태양과 혜성과 목성이 이루는 각도는 64도다. 따라서 이 계산 결과에 따르면 충돌한다 해도 우리는 충돌 장면을 직접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광도가 갑자기 증가되면 인지감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본래 자외선 광도가 나타나는
위도
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약 20년 전에 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했던 소위 범벌(killer bee)이라는 벌들이 남아메리카로 옮긴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개화시기에도 영향태양광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생길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도 태풍은 저
위도
지방에 축적된 대기중의 에너지를 고
위도
지방으로 수송하여 남북의 온도차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것이 없다면 지구상의 남북의 온도차가 커져 이상 기온이 생기고 기후변동이 생겨 생태계가 급변하게 될 것이다.1961년 이후 미국에서 한때 태풍을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되어, 극대기에는 평균 15˚ 근처에 나타난다. 극대기를 지나 극소기에 달하면 흑점은
위도
8˚ 부근에 나타나고, 그 후 다시 새로운 활동 주기가 시작되면 25~30˚ 근처에 나타나게 된다.이 이동 법칙을 '시푀러의 법칙'이라 하며, 이 법칙을 도표로 나타낸 것을 '몬더의 나비형 그림'이라 한다(그림).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