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높다. 더구나 DNA는 현재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외부 자극에 강하기 때문에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DNA를 메모리로 처음 활용한 건 2012년이었다. DNA 합성 연구로 유명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65만8750바이트 분량의 책 정보를 DNA에 저장하는 데 성공했다. 처치 교수는 자신이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수술 내비게이션에 접목했다. ‘포켓몬 고’처럼 눈앞에 장기 나타나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시야에는 종양, 혈관 등의 안쪽 부위는 보이지 않는다. 수술 내비게이션은 차량용 내비게이션(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처럼 치료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고, 수술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말한다. 액면분할 발표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흔들리기는 했지만, 장기적인 전망이 꽤 밝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홍춘욱_hong8706@naver.com1993년 12월부터 이코노미스트로 일하고 있으며, ‘환율의 미래’ ‘인구와 투자의 미래’ 등 다양한 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교수 정원이 65명입니다. 웬만한 단과대학보다도 큰 규모죠. 반도체, 통신, 컴퓨터공학 등 교수마다 연구 분야가 다양한 만큼 학생들의 진 ... “부모님의 바람이나 남들이 말하는 직업의 안정성보다는 자신의 적성을 잘 살피면서 장기적으로 보고 진로를 선택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작심삼일, 네 탓이 아니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설명했다. 이것으로 다이어트 결심과 새해결심이 작심삼일이 되는 이유도 설명된다. 장기적으로 건강을 위해 운동하고 영양 가득한 식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눈앞에서 맛있는 음식이 유혹하니 다이어트를 미루게 된다. 또 지금 저축해야 멋진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당장 사고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과학기술정책을 쌓고 부수고, 다시 쌓기를 반복하며 제자리를 맴돌 때 경쟁국은 중장기 전략을 가지고 한발씩 나아가고 있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엄청난 변화이지만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특정 지점을 정해두고 10년, 20년 장기적으로 관측해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단장은 “인공위성을 활용한 해빙과 빙권의 원격 연구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며 “인공위성 원격탐사는 과거 유럽과 미국 등에서 주도했는데, 이제는 한국도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봄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장기 펠로우십에 선정됐습니다.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장기적 지원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수학자라면 누구나 부러워하는 제안입니다. 연구성과가 뛰어나야만 지원하기 때문에 젊은 수학자가 뽑힌 경우는 역대 세 명밖에 없을 정도로 매우 드뭅니다. 그 중 두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활용해 혈액, 제대혈, 줄기세포와 같은 주요 생물자원을 동결 보존해 유전적 변이를 막고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 동결방지단백질을 수산양식어류에 도입해 겨울철 냉해를 막는 연구를 분석진행 중이다. 동결방지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대량 생산하고 정제하는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캐스(Cas)9’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유전자가위 기술로 교정하거나, 줄기세포나 체세포에서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고, 항암세포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