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노들이 기능을 합니다. 그 결과 대칭을 이루고 있던 배아의 좌우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장기의 좌우 비대칭의 경우, 훗날 심장으로 발달할 심장 튜브가 오른쪽으로 굽으며 비대칭이 시작됩니다. 수정된 지 겨우 일주일 된 배아에 이런 기적이 일어나다니, 기적 같은 생명의 신비입니다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살 단위로 80세까지 얼굴이 변화하는 모습을 데이터화했다. 나이변환 기술을 활용하면 장기 미제(未濟)사건의 용의자나 수십 년 전 실종된 아동의 얼굴을 예측할 수 있다. 실종 아동의 현재 모습을 예측해 실종자 찾기에 활용하고, 예전 몽타주로부터 오랜 시간이 흐른 뒤 현재의 모습을 예측해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0%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연구자가 여유를 가지고 충분히 연구할 수 있는 장기적인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자문위원회 시스템 최초 도입이화학연구소는 2~3년마다 개최하는 리켄자문위원회(RAC·Riken Advisory Council)에서 R&D 평가의 기본잣대를 결정한다.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 같았다. 오히려 과학자도 자기 전공 말고는 잘 모른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려주는 게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 아닐까, 그런 생각도 들었다. 의무를 저버리고 타락한 것일까? 그럴지도 몰랐다. 훨씬 마음이 편해졌으니 아무래도 좋았지만. 그래도 모든 의무를 내던진 것은 아니었다. 미지의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나빠지고, 자손도 많이 남기지 못한 채 사라지고 맙니다. 원숭이들은 서로 돕는 행동이 장기적으로 이득이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생활할 때 협력전략을 선택합니다. 이것은 게임이론의 변형 형태인 ‘진화 게임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게임이론으로 본 진화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존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사일도 피할 수 있는 셈이다. 장시간 지치지 않고 비행하는 기술도 슈퍼맨의 장기 중 하나다. 이는 비행하는 물체에 레이저를 쏴 충전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무인기에 충전판(레이저셀)을 두고 레이저를 쏘면 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면서 동력을 낸다. 이론적으로는 24시간 내내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마노아 하와이대(UH마노아) 교수는 홈페이지에서 “이 프로젝트를 통해 화성에서 장기간 생활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문제를 예측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가 인류의 유인 화성 탐사의 걸림돌을 줄이는 데 일조한다는 점에서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것도 허황된 꿈만은 아니다. 실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뇌에서 신경 신호를 읽어 오거나 뇌에 자극을 가하기 위해서는 두개골을 절개해서 전극을 삽입해야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개체수가 엄청나게 불어나면서 폐를 찾아가던 도중, 길을 잃고 간이나 장 같은 다른 장기로 들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 하동 임신부 미라의 경우 가래를 뱉지 못할 만큼 상태가 심각해, 피 섞인 가래를 뱉지 않고 삼켜 기생충 알이 소화기관에 쌓였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데 어려움이 있었다. 미국 노스이스턴대와 하버드대 의대 공동연구팀은 피부와 장기의 상처를 신축성이 있는 엘라스틴 단백질의 전구체(트로포엘라스틴)로 붙이는 접착제인 ‘메트로’를 개발했다. 트로포엘라스틴에 자외선을 쬐면 고탄성 젤로 변하면서 단단해 진다. 즉, 상처 부위에 메트로를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